정연승 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는 2034년까지 개발·보급계획을 담은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확정했다"며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기존 30년 21.6%에서 34년 25.8%로 4.2%p 상향 △ 2034년까지 65.1GW신재생에너지 설비 신규 보급 △지자체, 지역 주민을 포함하는 참여 주체 다양화 △ 인허가, 규제 개선 (ex, 부지 임대기간 확대,풍력 인허가 통합 기구 도입),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시장 재편 △분산형 재생에너지 확산 및 자가용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태양광, 풍력, 수소 관련 고효율 제품 R&D 강화 등 내용을 담고 있다고 전했다.
정 연구원은 2021년 후속 정책으로 △수소 생태계 구축, 강화를 위한 HPS(수소발전의무화제도) 도입 △재생에너지 사업자와 전기소비자간의 직접 구매계약(직접 PPA) 체결 가능토록 전기사업법 개정 △ RPS 비율 상향 및 공급의무자 대상 확대, △발전원별 REC(신재생공급인증서) 가중치 조정을 전망했다.
또 "세부 정책 구체화가 실제 실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업으로 계속적으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해야한다고 판단한다"며 "수출 비중이 높거나, 중장기 외형 성장 계획을 구체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업 중심으로 중장기 보유 전략이 유효하다"고 했다.
아래는 정 연구원이 꼽은 국내 신재생에너지(발전용) 관련 기업들의 리스트다.
◇풍력 - 씨에스윈드 (81,700원 ▲700 +0.9%), 씨에스베어링 (31,600원 ▲200 +0.6%), 동국S&C (6,460원 ▲100 +1.6%), 유니슨 (4,330원 ▲55 +1.3%), 두산중공업 (14,350원 ▲900 +6.7%), 삼강엠앤티 (21,450원 ▲850 +4.1%), 세아제강 (59,000원 ▲500 +0.8%)
◇태양광 - 한화솔루션 (50,400원 ▲2050 +4.2%), 현대에너지솔루션 (35,250원 ▲450 +1.3%), OCI (121,000원 ▲3500 +3.0%), 신성이엔지 (3,435원 ▲75 +2.2%), 에스에너지 (6,190원 ▲170 +2.8%)
◇전력인프라 - 한국전력 (24,200원 ▲300 +1.3%), LS Electric (60,000원 ▼1000 -1.6%), 현대일렉트릭 (19,350원 ▼350 -1.8%), 효성중공업 (72,100원 ▼900 -1.2%), 한국가스공사 (33,450원 ▲150 +0.5%)
◇발전용 연료전지 - 두산퓨얼셀 (52,900원 ▲100 +0.2%), 에스퓨얼셀 (33,650원 ▲50 +0.1%), 미코 (15,250원 ▲100 +0.7%), 비나텍 (42,950원 ▼250 -0.6%), SK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