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도시 성공하려면…돈 된다는 것 보여줘야 시장도 움직일 것"

머니투데이 김민우 기자 2020.10.23 06:00
글자크기

[그린뉴딜엑스포]

이재훈 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화재폭발연구부장/사진제공=가스안전공사이재훈 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화재폭발연구부장/사진제공=가스안전공사


"정부가 2030년 이후의 중장기적인 수소의 수요량을 예측하고 구체적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재훈 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화재폭발연구부장은 22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수소도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장이 자발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들어줘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우리나라 수소산업은 승용차와 특정 연료전지 분야가 주도하고 있다. 나머지 수소분야는 산업 생태계 기반이 미약한 상황이다.



정부가 오는 11월 수소도시법을 발의하면서 수소산업 생태계 저변을 넓히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정작 시장에서의 반응은 아직 미지근하다.

이 부장은 "수소분야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 기업들이 시장에 참여하도록 하려면 결국 수소가 돈이 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며 "앞으로 이런 제도가 만들어지니 사업을 해도 괜찮을 것이라는 시그널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부장이 특히 강조하는 부분은 장단기적 수소수급 방안이다. 이 부장은 "지금까지는 수소자동차에 대한 수요량만 예측했을뿐 수소도시 도입에 따른 수소수급량에 대한 예측은 없다"며 "수소도시가 도입되면 수소에 대한 수요가 굉장히 높아질 것이고 그렇다면 어떻게 공급할지에 대한 부분도 계획을 세워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수소 인프라 구축 방안은 마련하고 있지만 장단기 수소수급 방안은 없다"며 "수급불안으로 인한 투자환경의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2만8000톤, 2025년 5만톤 등 2025년까지 총 7만8000톤의 수소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수소도시가 본격화되는 2030년 이후의 수급상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 부장은 수요 예측 만큼 안전관리 방안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부장은 "현재 정부는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설계와 시공단계에서 위험성평가제도를 실시하고 부품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며 "운영단계에서는 정밀안전진단을 하고 있고 강릉 수소폭발 사고 이후 수소충전소 방호벽 안전성 향상을 위한 폭발실증 연구도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액체수소 도입을 위한 '100톤/일'급 핵심 인프라 개념설계를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부장은 오는 28일 머니투데이 주최로 열리는 그린뉴딜엑스포 컨퍼런스에서 이같은 내용을 주제로 강연을 할 계획이다.

수소도시법의 제정 목적과 배경을 간략히 설명하고 현재의 정책방향과 10년이후의 수소경제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 수소 도시의 건설모델을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산업의 육성방향도 제시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