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택배노동자 사망사고에 국감가는 쿠팡 "택배사랑 다른데…"

머니투데이 정혜윤 기자 2020.10.20 14:21
글자크기

"일반 택배노동자와 다른 직접 고용 형태, 분류 작업 인력도 따로 운영"

(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사진은 16일 오전 서울 시내의 쿠팡 캠프에서 배송 기사들이 배송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2020.3.16/뉴스1(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사진은 16일 오전 서울 시내의 쿠팡 캠프에서 배송 기사들이 배송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2020.3.16/뉴스1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노동자들의 사망사고가 이어지면서, 택배 작업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물류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e커머스 기업 쿠팡 역시 이 같은 논란에 휩싸였다.

20일 유통업계·국회 등에 따르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전날 연이은 택배노동자 사망사고 발생 관련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엄성환 전무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지난 12일 쿠팡 칠곡 물류센터에서 포장 지원 업무를 했던 일용직 노동자 20대 장모씨가 목숨을 잃은 것과 관련해서다. 엄 전무는 오는 26일 열리는 고용부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관련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쿠팡을 비롯해 CJ대한통운, 한진택배 등 택배 노동자 사망 사고는 이달에만 3건, 올해 10건 발생했다. 노동계는 이들의 사망 원인을 과로사라고 지목한다. 코로나19(COVID-19)로 온라인 소비가 대세로 자리잡고 배송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이들의 업무가 가중됐다는 주장이다.



당초 국회에서 CJ대한통운·한진택배 대표 등 택배회사 대표를 증인으로 신청하는 것을 놓고 논의했지만 결국 쿠팡 실무 임원만 국감장에 부르는 것으로 정리했다. 이를 두고서도 택배 문제의 핵심을 벗어난 증인 채택으로 알맹이가 빠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일반 택배노동자와 쿠팡 배송 인력 운용은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 택배노동자들은 개인사업자로 분류돼 건당 수수료를 받는 계약 형태가 많지만 쿠팡 인력은 직접 고용 형태로 이뤄진다.

지난 22일 1만번째 '쿠친' 김단아씨의 입사를 축하하는 행사가 인천4캠프에서 진행됐다. 왼쪽부터 1기 쿠친(쿠팡맨) 황선호씨, 1만번째 쿠친 김단아씨, 고명주 쿠팡 인사부분 대표./사진제공=쿠팡지난 22일 1만번째 '쿠친' 김단아씨의 입사를 축하하는 행사가 인천4캠프에서 진행됐다. 왼쪽부터 1기 쿠친(쿠팡맨) 황선호씨, 1만번째 쿠친 김단아씨, 고명주 쿠팡 인사부분 대표./사진제공=쿠팡
이에 쿠팡은 정규직과 단기직 등 모든 인력을 주 52시간 이상 근무하지 못하도록 주간 근무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쿠팡 관계자는 "3교대로 돌아가는 쿠팡 물류센터 업무 특성상 8시간 근무와 1시간 휴무가 잘 지켜져 장기간 추가 근무가 어렵다"고 했다.


또 일반 택배기사들은 공짜 노동으로 불리는 '분류 작업'이 과로사의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분류 작업에만 하루 4~5시간이 걸리지만 이에 대한 대가는 받지 못해서다. 이와 달리 쿠팡은 물류센터 내부 분류 작업 직원과 배송 직원(정규직 형태인 쿠친·아르바이트 형태인 쿠팡플렉스)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

실제 코로나로 주문량이 폭증하면서 쿠팡은 올해 상반기 물류센터와 배송 등 국내 유통기업 중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공개한 자료(7월말 기준)에 따르면 올 2월부터 6월까지 국내 500대 기업이 1만 1880명의 직원을 줄인 반면 쿠팡은 올 상반기만 1만 2277명 직원(국민연금 가입자 기준)을 고용했다.

물론 이는 정규직 형태와 한달 이상 근속하고 한달간 8일 혹은 60시간 일한 일용근로자 등을 모두 포함한 집계다. 비율은 공개되고 있지 않지만 쿠팡은 정규직보다 단기직 형태의 직원 비율이 더 높다. 이 때문에 쿠팡은 고용 규모와 달리 고용의 질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쿠팡은 이와 관련 단기직 직원들에게 상시직으로 전환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사망한 장모씨에게도 매달 상시직 전환을 제안했지만 본인이 거부해왔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