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노딜이 남긴 숙제, 금호산업 감자·구조조정·소송…

머니투데이 이학렬 기자 2020.09.14 05:01
글자크기

채권단 안정적 경영권 확보 위해 감자 불가피, 금호산업 등 반발…이동걸 첫 현장방문 '아시아나 달래기'

/사진=뉴스1/사진=뉴스1


채권단이 지난 11일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M&A)의 무산을 선언하고 기압안정기금을 투입하는 등 정상화 작업에 나서기로 했지만 이외에도 금호산업 감자, 아시아나항공의 추가적인 구조조정, HDC현대산업개발과 소송 등 난제가 겹겹이 쌓여 있다.

채권단은 발표한 범 정부 차원의 정상화 계획에 따르면 기간산업안정기금 2조4000억원이 아시아나에 투입된다. 첫 기안기금 지원이다. 이 중 2조1000억원은 M&A 무산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상환 의무가 발생하는 ABS(자산유동화증권)와 금융리스 등을 갚기 위한 자금이다. 신용평가사는 정부와 채권단 지원 방안을 평가한 뒤 아시아나 신용등급을 결정하는데신용등급을 유지된다면 대출규모는 준다.



채권단은 정상화 된 이후의 이익 공유를 위해 지원자금의 20%인 4800억원은 영구채(CB) 방식으로 지원한다. 아시아나 부채비율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지난 4월 채권단이 지원하기로 한 1조7000억원까지 포함하면 최소한 내년 초까지 아시아나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최대현 산업은행 부행장은 “상당기간 추가지원이 필요하지 않겠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 아시아나 유동성을 단계별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급한 불을 끈 뒤 채권단 주도로 아시아나항공을 정상화하려면 일단 최대주주가 돼야 한다. 채권단이 지난해와 올해 각각 지원한 5000억원과 3000억원의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아시아나 지분 36.99%를 보유해 금호산업을 제치고 최대주주가 된다. 하지만 여전히 금호산업의 아시아나 지분율이 30.79%로 높고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하기 때문에 감자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채권단 안팎의 시각이다. 대주주에게 책임을 묻는다는 차원에서 감자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금호산업은 감자에 반발한다. 아시아나항공 위기가 코로나19 때문이고 M&A 무산 책임을 금호산업에 물을 수 없다는 논리다. 아시아나항공 구주를 3228억원에 HDC현산에 넘겨주고 그룹 재건을 도모하려던 금호산업 입장에선 감자에 반대할 수 밖에 없다. 2대 주주인 금호석유화학과 소액주주의 지분에 대한 차등감자 논의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최 부행장은 “기존 주주 감자는 연말 재무상태, 영구채 전환을 통한 채권단의 경영권 확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현 단계에서는 언급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을 정상화하기 위한 경영쇄신과 자구계획을 지속하는 한편 노선 조정, 내부 원가 절감, 조직개편 등을 통해 비용 절감도 꾀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기안기금의 전제조건이 고용유지여서 아시아나항공이 당장은 인력 구조조정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 임직원들은 올해초부터 순환휴직, 유급휴직, 임원 급여반납과 삭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 부행장은 “운항 상태나 임금 반납 상태를 보면 인력 부분은 급한 일이 아니지만 추후 시기와 방법을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이 연임 후 첫 현장방문으로 아시아나항공을 택한 것 역시 이런 전반적인 사정을 고려했다.

HDC현산과 미래에셋과 이행보증금 2500억원의 반환을 놓고 벌일 소송도 시간문제다. HDC현산 컨소시엄은 우선협상대상자 계약을 맺은 뒤 인수금액 총액을 웃돌 정도로 아시아나항공의 부채가 급격히 증가했음에도 재실사 요구에 응하지 않고 계약해지를 통보한 채권단에 귀책사유가 있다고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채권단은 인수조건 변경 등을 통해 1조원 이상의 가격부담을 줄여줬음에도 계약이행을 하지 않은 HDC현산에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