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TSMC 유치 나서는 일본의 속내는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 2020.07.21 05:00
글자크기

자국 소부장·팹리스 생태계 확대 의도도…대만-일본 협력, 韓 반도체 업계엔 '악재'

대만 TSMC 유치 나서는 일본의 속내는


일본 정부가 자국의 반도체 산업 재건을 위해 수조원을 투입해 대만 TSMC 등 해외업체 유치에 나서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입지가 불안해진 TSMC를 일본에 끌어들여 자국 소재·장비·부품 업체를 부양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해석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일본 반도체 장비업체 및 연구기관과 공동 개발을 전제로 TSMC 등 외국 기업에 수년간 수천억엔(수조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해외 반도체 기업과 연계해 일본 내 반도체 제조 거점을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이 유치활동을 벌이는 기업은 삼성전자나 인텔 외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중 인텔은 일본에 공장을 지을 실익이 없고, 한일 수출규제가 아직 철회되지 않은 점으로 볼때 사실상 TSMC를 주 타깃으로 내린 조치라는 평이다. TSMC는 이미 지난해 11월 도쿄대와 공동연구소를 설립하며 일본과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일본의 노림수는 TSMC의 최신 공정기술을 통한 자국 반도체 생태계 확장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EUV(극자외선) 고분자 재료를 생산하는 TOK, 장비업체 TEL(도쿄일렉트론) 등 다수의 글로벌 소부장 업체들을 보유하고 있다.



독보적인 첨단공정을 확보한 TSMC와 이런 일본 업체들이 기술제휴에 나선다면 그만큼 일본의 기술력이 업그레이드 되고, 시장도 넓혀갈 수 있다. 아울러 TSMC 유치는 일본의 강소 팹리스 업체에도 기회가 될 전망이다.

대만 TSMC 유치 나서는 일본의 속내는
여기엔 아베 정부의 대 한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수출규제로 자국 기업들이 지난 1년간 입은 '손해'를 만회하려는 포석도 깔려 있다. 지난 1년간 한국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에 성과를 거두며 일본 업체들은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와 거래만 끊긴 셈이 됐다.

아울러 TSMC 유치는 일본의 강소 팹리스 업체의 생태계 확장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최근 반도체를 무기화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되며 TSMC는 주요 고객인 화웨이를 잃을 처지에 놓였다. TSMC는 당장 파운드리 실적에서 큰 타격을 입진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트럼프 정부의 압박으로 중국 시장을 잃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협력 제안이 반가울 것이라는 진단이다.


노화욱 반도체산업구조선진화연구회 회장은 "일본의 TSMC 유인 정책은 미중 무역갈등에 끼여 극도로 민감한 상태인 TSMC를 끌어들여 자국의 발전 토대로 삼으려는 목적"이라며 "아베 정부의 실책으로 손실을 입은 자국 소부장 업체를 달래려는 의도도 담겨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은 2030년까지 TSMC를 제치고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겠다는 목표인 삼성으로선 달갑지 않다. 일본은 비록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뒤처졌지만 강소 팹리스와 소부장 업체들을 보유해 TSMC와의 협업이 어떤 시너지 효과를 불러올지 알 수 없다. 삼성전자는 일본 정부의 협력 제안에 대해 "확인해줄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