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모든 관계 끊을 수도"…트럼프의 섬뜩한 협박, 왜?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20.05.15 00:39
글자크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관계를 단절할 수 있다며 중국을 상대로 역대 가장 높은 수위의 위협을 가했다. 코로나19(COVID-19) 사태의 책임 문제를 놓고 불거진 양국 갈등이 악화 일로로 치달으면서 제2차 미중 경제전쟁 발발의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지금은 시진핑과 대화하기 싫어"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의) 전체 관계를 끊을 수 있다(We could cut off the whole relationship)"며 "그렇게 하면 5000억달러(약 600조원)를 절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의 무역을 중단할 경우 무역적자가 줄어들 것이란 의미로 풀이된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상대로 코로나19 사태 악화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최근 대화를 해봤느냐는 질문에 "(시 주석과는) 매우 좋은 관계"라면서도 "지금 당장은 그와 대화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폭스뉴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지금까지 대중국 발언 가운데 가장 강도가 세다"고 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회계 규정 위반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기업에) 'NYSE와 나스닥 규정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은 어떻게 할까"라며 "그들은 '좋아, 우리는 런던으로 옮기거나 홍콩으로 갈 거야'라고 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미국의 자본이 중국 기업을 키우는 데 쓰이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들이 추진돼 왔는데, 이날 발언 역시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최근 백악관은 연기금의 대중국 주식 투자에 제동을 걸었다. 백악관의 로버트 오브라이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과 래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1일 유진 스칼리아 노동부 장관에게 연방공무원퇴직연금(TSP)의 해외 주식 인덱스 투자를 허용하려는 연방퇴직저축위원회(FRTIB)의 조치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이 인덱스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인권 문제가 있다고 있다고 판단하는 중국 기업들의 주식이 포함돼 있다. 폭스비즈니스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TSP의 중국 주식 투자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중국 때리기' 대선 전략…제2차 미중 경제전쟁 위험 고조
트럼프 대통령과 그 참모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입은 피해에 대해 중국으로부터 경제적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표적인 대중국 강경파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은 지난 11일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거짓말을 했고, 사람들이 죽었다"며 "중국에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청구서를 내밀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코로나19와 싸우기 위해 책정해야 한 비용은 10조달러(약 1경2000조원)에 가깝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30일 "중국으로부터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 추가 관세를 물릴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미중 갈등의 영역이 사이보 안보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화웨이 등 미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중국 업체의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적용기간을 내년 5월까지로 1년 연장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정부가 화웨이 등의 자국 업체들의 통신장비를 통해 미국의 군사기밀 등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주장한다.

같은 날 미 수사당국은 이날 중국이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관련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해킹을 시도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압박이 11월 대선 승리를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전략은 코로나19에 따른 인명피해와 경제적 고통에 대한 분노를 미국인들이 경계하는 적대국으로 돌리는 것"이라며 "공화당은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중국의 과실을 들추는 게 선거에 유리하다고 믿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미국의 대중국 공세가 계속 이어질 경우 중국이 맞불을 놓으면서 제2차 미중 경제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전날 "(미국의) 일방주의와 국제법상 근거가 없는 각종 제재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추가관세 부과 △환율조작국 지정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상대 수출 규제 등의 공격을 가하고 중국도 대미 관세 인상으로 맞대응하면서 양측간 갈등이 전방위적 경제전쟁으로 확산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1월15일 1단계 무역합의로 추가 관세가 보류되면서 양측의 분쟁은 소강 국면에 들어갔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