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동주택 공시가 14.75% 올라…13년새 최고

머니투데이 송선옥 기자 2020.03.18 14:00
글자크기

[2020년 공동주택 공시가]강남 25.57% 등 강남3구 압도적… 영등포·성동 등 '껑충'

서울 자치구별 공시가 변동률 /자료제공=국토교통부서울 자치구별 공시가 변동률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올해 서울의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14.75%를 기록했다. 2007년 28.4% 이후 13년만에 최대치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전국 공동주택 1383만가구에 대해 2020년 1월1일 기준 공시가격(안)을 발표했다. 서울의 공동주택 공시가 변동률은 14.75%로 전국 평균 5.99%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14.01%보다 높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강남3구의 상승이 압도적이었다. 강남구가 25.57%였으며 서초(22.57%) 송파구(18.45%)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초 양도소득세 중과 등으로 거래절벽에 시달렸던 서울 집값은 7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등으로 공급위축 우려가 높아지면서 급등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면적 84㎡가 지난해 3월 21억7000만원(21층)에 실거래됐는데 지난 12월 같은 주택형이 30억9000만원(25층)을 찍었다.

강남구 개포택지지구에서 ‘래미안블레스티지’ ‘디에이치아너힐즈’ 등이 지난해 입주하면서 신축효과로 시세 상승을 견인했고 이어 개포주공1단지 개포주공4단지 등 재건축 단지가 따라 올랐다. 송파구에서도 2018년말 입주한 헬리오시티가 초기 물량공급에 따른 부진을 딛고 반등하면서 주변 시세를 이끌었다. 진주 미성 크로바 등이 재건축을 진행한 것도 집값 상승에 힘을 보탰다.



이와 함께 자율형 사립고 폐지 등 교육제도 개편도 강남3구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강남3구에 이어 양천구가 18.36% 공시가 변동률이 높았다. 교육제도 개편으로 학군 수요가 몰린데다 재건축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정밀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이 지역 시세가 올랐다. 목동6단지는 지난해 말, 목동9단지는 이달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했다.

이어 영등포구(16.81%) 성동구(16.25%) 용산구(14.51%) 광진구(13.19%) 마포구(12.31%) 중구(10.97%) 구로구(10.84%) 동대문구(9.96%) 동작구(9.43%) 등이 뒤를 이었다. 마용성 집값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영등포구는 신길 문래 등의 개발호재(신안산선)가, 광진구는 한강과 가까운 입지 등이 주목받았다. 강남3구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정부의 부동산 대책 속에서 비강남권의 키맞추기가 이뤄졌다.


이에 반해 은평(5.51%) 강서(5.16%) 강북(4.10%) 등 3구는 서울 평균 상승률 14.75%는 물론 전국 평균 5.95%에도 못 미쳤다.

특히 정부가 고가 주택을 중심으로 공시가 현실화율(시세 반영률)을 높이면서 서울 자치구별 시세별 공시가 변동률 차이가 컸다. 동작구 시세 3억원 미만 공동주택의 공시가 변동률은 1.08%에 불과하나 강남구 15억원 이상 30억원 미만 공동주택의 공시가 변동률은 29.54%에 달했다.

이 처럼 공시가격이 상승하면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부담 등이 늘어난다.

서울에서 시세 15억원 이상 30억원 미만 공동주택은 8만5880가구로 집계됐으며 30억원 이상은 6243가구에 달했다. 30억원 이상 초고가 공동주택이 전국 6264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초고가 공동주택 대부분이 서울에 있는 셈이다. 30억원이 넘는 주택은 제주에 3가구, 경기도에 4가구, 부산 14가구로 나타났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은 “코로나19와 기준금리의 갑작스러운 인하로 부동산 시장의 위기감이 큰데 공시가 상승으로 세금부담을 이전보다 더 크게 느낄 수 있다”며 “오는 6월까지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와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을 맞아 일부 다주택자들의 매도 고민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