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자전거… 마이크로 모빌리티 '판 커진다'

머니투데이 서진욱 기자 2019.09.20 04:00
글자크기

20여곳 업체 치열한 경쟁, 운행대수·지역 확장 가속화

대표적인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인 전동킥보드. /사진제공=올룰로.대표적인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인 전동킥보드. /사진제공=올룰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기반 국내 마이크로(초소형) 모빌리티 경쟁이 치열하다.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과 대기업, 해외 기업 등 20여곳에 달하는 업체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급속한 시장 확장이 이뤄지는 가운데, 안전사고 위험성과 수익성 미비 등 우려도 나온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각축전'… 서울에서 지방 '확장'=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에서 20여곳에 달하는 업체들이 경쟁을 펼치고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전동휠 등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승 이동수단을 말한다.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플랫폼 ‘일레클’ 운영사 나인투원은 최근 서비스 규모를 1000대로 확장한다고 밝혔다. 나인투원은 이달 말까지 서울 지역에 공유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500여대를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세종특별자치시와 업무협약을 체결, 세종에서 200여대 규모로 공유 전기자전거 시범사업도 펼친다.



해외 기업들의 국내 시장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빔모빌리티는 해외 기업 중 최초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지난달 말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빔모빌리티는 시범 서비스 기간 중 1000대 규모로 운영하던 전동킥보드를 5000대로 늘릴 계획이다. 저렴한 요금과 24시간 운영을 차별점으로 내세워 국내 시장을 선점하겠단 각오다. 미국 전동킥보드 업체 라임의 국내 진출도 임박했다. 이달 말 1000대 규모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라임은 미국과 유럽에서 서비스 중인 업체로,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비상장사) 가치를 인정받았다. 아시아 서비스는 한국이 최초다.

사업자 간 인수합병도 활발하다. 매스아시아와 더스윙은 각각 알파카, 라이드를 인수해 기업과 서비스 규모를 확장했다. 현대자동차가 중소 업체들과 협업한 ‘제트’는 제주에서 서울, 대전으로 전동킥보드 서비스 지역을 확대했다. 제트는 이달 초부터 서울 가산디지털단지와 혜화역 일대에서 80여대 규모로 전동킥보드 운영에 들어갔다.



킥보드, 자전거… 마이크로 모빌리티 '판 커진다'
◇‘사고 리스크’, ‘안정적 수익’이 과제= 마이크로 모빌리티 선점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소비자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체계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춘 도심에서도 초단거리 이동 시 도보 외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새로운 이동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기자전거 ‘카카오T 바이크’의 3~7월 운행 통계를 보면 평균 이동거리는 2443m로 집계됐다. 걸으면 30~40분, 택시나 자가용으로 이동하기 애매한 초단거리다.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대, 주말에는 오후부터 저녁까지 시간대에 이용하는 비중이 높다.

사고 위험은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의 난제다. 현행 법상 원동기로 구분된 전동킥보드는 일반 차도, 최고 속도가 25km/h로 제한된 전기자전거는 자전거도로에서 운행해야 한다. 하지만 인도 주행이 만연할 뿐 아니라, 헬멧을 비롯한 보호장비 착용 없이 이용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인도, 차도 구분 없이 갑작스레 튀어나오는 전동킥보드 사용자를 빗대 ‘킥라니’(전동킥보드와 고라니 합성어)라는 신조어마저 탄생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5km/h 이하 전동킥보드에 대한 자전거도로 주행 허용에 대해 합의했지만 관련 법 통과가 지연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익 창출원도 또다른 숙제다. 기기 구매와 관리에 상당한 비용이 들고, 기기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시장 선점을 위한 출혈 경쟁 국면에선 합당한 요금 책정이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있다.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위원은 “서울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구밀도, 젊은층 비중이 높은 지방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확산되고 있다”며 “기기 파손 사례가 많은 미국에 비해 국내 파손율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충분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이라고 말했다.


나인투원의 전기자전거 '일레클 네오'. /사진제공=나인투원.나인투원의 전기자전거 '일레클 네오'. /사진제공=나인투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