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이 가벼워"…웃는 아베 뒤의 그림자[日산지석]

머니투데이 김주동 기자 2019.09.08 13:01
글자크기


한일 갈등 커지며 아베 지지도 ↑
세금 올리는 것마저 여론 우호적
반면 임금·소비심리·기업실적은 ↓
임금부족·연금불안 중년 이상 위축
"집단심리 빠지지 말고 객관화를"

편집자주 고령화 등 문제를 앞서 겪고 있는 일본 사회의 모습을 '타산지석' 삼기 위해 시작한 연재물입니다. 당분간 '지피지기'를 위해 일본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지갑이 가벼워"…웃는 아베 뒤의 그림자[日산지석]
지난 1일 일본에서 나온 한 여론조사 결과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이날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에 대해 67%가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한 달 전 조사 때보다 찬성이 9%포인트 늘었습니다. 국가 간 싸움이니 자국의 편을 든 것일까요?

의아했던 것은 그 다음 결과들입니다. 아베 신조 내각 지지율 역시 58%로 이전보다 6%포인트 늘어난 것입니다. 지지의 이유로 안정감과 국제 감각(외교)이 주로 꼽혔습니다. 외교를 잘한다는 말입니다.



심지어 아베 총리가 추진하는 개헌('개헌을 논의해야 한다' 77%) 여론도 좋아졌고, 다음 달로 예정된 소비세율 인상(8→10%) 여론은 처음으로 찬성(49%)이 반대에 앞섰습니다. 자신들이 세금을 더 내는 것에 대해 찬성한 것에 특히 눈길이 갑니다.

아베 내각은 자신들이 키워온 한일 갈등이 정부 전반에 대한 지지로 돌아와 이득을 본 셈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경제상황은 썩 좋지 못합니다. 최근 공개된 경제지표나 몇 가지 소식들은 이를 잘 보여줍니다.

6일 일본정부 발표에 따르면 노동자의 7월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0.9% 줄었습니다. 7개월 연속 감소세입니다. 국민의 지갑이 얇아졌다는 것은 다른 통계에서도 나옵니다.

지난 3일 니혼게이자이에 따르면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8월 소비자태도지수는 37.1점(전월 대비 0.7점↓) 11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조사대상이 모두 긍정 반응을 보이면 100점, 반대면 0점인 조사입니다.


소비심리는 나이 별로 확연한 차이가 있어 40대 이상 고령자일수록 나빴습니다. 기업들이 젊은 인력 확보에 나서면서 30대 이하의 월급은 넉넉히 올랐는데, 중년 이상은 상대적으로 임금 인상이 박했기 때문입니다. 연금으로 사는 고령자들은 더 불안합니다. 연금과 별도로 2000만엔(2억2300만원)을 더 모으라는 정부 보고서가 나온 데다 연금 수령액도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아베 신조 일본총리.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아베 신조 일본총리.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기업 쪽에서도 좋지 않은 얘기가 나옵니다. 노무라증권은 2일 올해 주요 기업들(금융업 제외)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경상이익 감소를 보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전쟁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하는 등 때문입니다.

한일 갈등 여파도 있습니다. 일본산 보이콧으로 일본 내 관광업은 물론 제조기업까지 타격을 입는 중입니다. 대기업인 닛산자동차는 판매가 88% 급감하며 한국시장 철수설이 나왔습니다. 한 일본 화학업체는 "한국 미용실들이 우리 제품을 쓴다는 표시를 떼고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일본 기업들은 소비세율이 오르면 제품·서비스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한 지역 상공회의소 조사에서(81.2%) 답하며 경영 여파를 우려했습니다. 소비자들은 세금이 오르기 전 이달에 물건을 미리 사려고 합니다. 10월 이후 경기가 악화할 가능성이 커진 셈입니다.

그런데 일본 내에서 한일 갈등 문제가 큰 관심을 모으는 반면, 이러한 경제 문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본의 한 정신과의사는 집단의 판단이 늘 옳다고 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합니다.

와다 히데키 의사는 온라인 매체 프레지던트에 게재한 '한일대립을 부추기는 '바보'가 늘어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글에서, 과거 일본이 전쟁을 일으켰을 때도 지지 여론이 컸다면서 똑똑한 사람도 집단심리 안에서는 어리석은 결정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또 아베 정권에서 주가가 올랐지만 실질임금이 낮아진 것, 내년 도쿄올림픽에 대한 기대는 크지만 이후 불경기 등 우려는 작은 것을 꼬집고, 한국을 적대시 하는 정책 역시 경제적으로 단점이 더 커보이지만 피해 당사자가 아니면 이를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합니다. 집단심리에만 빠져 있지 말고 객관화 하기 위해 다른 시각으로 되돌아 보라는 얘기입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