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법무부, 구글·페이스북·아마존 '反독점 조사' 착수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19.07.24 07:35
글자크기

"경쟁제한 행위와 소비자 피해 조사할 것"…재선 노리는 트럼프의 '미디어 기업 길들이기' 해석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 법무부가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등 초대형 IT(정보기술) 기업들을 겨냥해 광범위한 반(反)독점 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을 위한 포석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법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인터넷 검색, 소셜미디어, 소매판매 서비스 등을 지배하는 온라인 플랫폼들의 행태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특히 이들의 경쟁제한 행위와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집중 조사하겠다고 했다.



법무부가 직접 적시하진 않았지만 이는 사실상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과 페이스북, 아마존을 지목한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최근 미국 반독점당국인 법무부와 FTC(연방거래위원회)는 구글과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 이른바 IT '빅4'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분담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일각에선 2020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에 유리한 정치 지형을 만들기 위해 진보적 성향으로 알려진 미디어 기업들에 대한 길들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구글과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온라인상에서 '보수적' 목소리를 억압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도 폭스비즈니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 행정부가 구글과 페이스북 등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야 한다"며 날을 세웠다.

아마존의 경우 소셜미디어가 아닌 전자상거래 업체지만 제프 베조스 CEO(최고경영자)가 진보 성향 매체인 워싱턴포스트(WP)를 함께 지배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