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석도 못세워"… 가정집이 된 中광저우 임시정부청사

머니투데이 최태범 , 외교부공동취재단 기자 2019.07.15 14:07
글자크기

[the300]현재 일반 가정집으로 사용…한중, 한국기념관 운영방안 협의

중국 광저우시 동산백원 현관 전경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중국 광저우시 동산백원 현관 전경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라고 하기에는 일반 가정집에 가까웠다. 현관 지붕 아래에 매달린 빨랫줄에는 수건과 옷가지가, 현관문 앞에는 빗자루와 쓰레기통, 의자 등 제대로 정돈되지 않은 생활용품들이 널려 있었다.

지난 12일 외교부 ‘임정 100주년 기념 한중 우호 카라반’에 포함된 기자단이 찾아간 ‘동산백원(東山柏園)’의 현재 모습이다. 이곳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38년 7월 22일부터 9월 19일까지 중국 광저우(廣州) 동산구 휼고원로 12호에서 사용한 청사다.



동산백원은 당초 중일전쟁의 여파로 파괴됐거나 도시계획에 의해 철거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김구 백범일지를 비롯해 상하이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 양우조-최선화 부부의 육아일기인 '제시의 일기' 등 문헌상으로만 등장했다.

주광저우 총영사관은 광저우시 문화국과 협조해 오랜 노력 끝에 2006년 1월 청사 소재지를 확인했다. 이후 독립기념관 국외사적지팀의 사료·고증 등을 거쳐 동산백원의 현주소를 검증했고, 2016년 12월 국가보훈처 등 유관기관의 현장답사를 통해 임정 건물을 특정했다.



◇8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묻혀있던 역사적 현장 발견했지만..

동산백원 담장 안내문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동산백원 담장 안내문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지금의 동산백원에서 임시정부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담장 안내문에는 ‘중국·서양 건축 양식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근현대 건물’이라는 문구만 쓰여 있다. 동산백원은 현재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소유권은 중국 개인과 기관에 있다고 한다.

중국 측은 동산백원이 임정 유적지였다는 내용의 표지석을 세우기로 약속했었다. 하지만 2017년 한중간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가 불거지면서 무산됐다.

재중 역사학자 강정애(61)씨는 “동산백원이 임정 유적지였다는 내용이 들어간 표지석을 세우겠다고 중국이 약속했지만, 2017년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놓고 한중간 갈등이 빚어지는 바람에 없던 일이 됐다”고 전했다.


강씨는 주광저우 총영사관에 근무하며 동산백원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10년을 주경야독으로 독립운동사를 연구한 그는 대만 중앙역사언어연구소와 협력해 동산백원이 임시정부의 거처임을 밝혀냈다.

◇“사드 때 상황 살벌했다…동산백원 매입도 불가”

동산백원 발견과 고증에 역할한 재중 역사학자 강정애씨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동산백원 발견과 고증에 역할한 재중 역사학자 강정애씨 /사진=외교부공동취재단
강씨에 따르면 우리 측은 동산백원을 한국기념관으로 운영하는 방안 등을 놓고 협의했지만 중국 측은 난색을 표했다.

강씨는 “건물을 확보해 임정 전시관으로 사용하면 좋겠지만, 중국이 우리에게 선뜻 사용하라고 내어줄 수 없는 이유가 있다"며 "언젠가 건물 소유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갑자기 나타나면 우리 정부도 중국 정부도 난감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물을 찾자마자 굉장히 흥분했고 당장이라도 구입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중국 정부가 지정한 건축물 보호 지역이어서 매매가 불가능했다”며 “우리는 하다못해 이곳이 임정 청사였다는 표지판이라도 하나 붙였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강씨는 “한중간 사드 합의가 이뤄졌지만 그 후에도 상황은 살벌했다”며 “일부에서는 한국 정부가 왜 노력을 안하느냐고 하는데 기념관을 세운다고 해도 우리가 운영을 못한다. 중국 쪽에서 한국기념관을 운영하기 위한 준비가 돼 있어야 하는데 지금 상태로는 어렵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