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상승 '뜀박질' 소득은 빌빌…'증가율 3배차' 세계 32개도시

머니투데이 유희석 기자 2019.04.03 16:37
글자크기

주요 도시 집값 소득보다 3배 빨리 올라…공공 공급 역부족, 민간 공급은 도움 안 돼
규제 강화해도 하락 폭 작아…규제 풀고, 소규모 공급 확대 등 대안 추진

미국 캘리포니아주 페탈루마의 한 주택 건설 현장 모습. /AFPBBNews=뉴스1미국 캘리포니아주 페탈루마의 한 주택 건설 현장 모습. /AFPBBNews=뉴스1


미국 뉴욕부터 영국 런던, 스웨덴 스톡홀름, 호주 시드니까지 세계 곳곳이 높은 집값에 시름을 앓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집값 오르는 속도가 소득증가율을 아득히 뛰어넘으면서 일반 사람들이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영국계 부동산 컨설팅회사 나이트 프랭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세계 32개 주요 대도시 집값이 24% 오르는 동안 실질소득증가율은 8%에 그쳤다.

집값 급등 이유는 복잡하지만 부분적으로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 외곽에서 도심으로 몰리면서 주택 수요가 증가했다. 여기에 세계금융위기 이후 각국의 경기 부양 정책으로 시중 유동성이 넘쳐나면서 투자 수요까지 더해졌다. 각국 정부는 공급을 늘려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려 했지만 대부분 역부족이었다. 대부분 예산이 고령층을 위한 연금이나 의료보험에 투입됐기 때문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민간 부문에서의 주택 공급은 오히려 집값 상승을 부채질했다. 집값을 수요자가 아닌 건설업자나 부동산 투자자 등이 결정하면서 중산층 이하 계층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쉽사리 이룰 수 없었다. 호주와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투기 세력을 꺾기 위해 세금 인상 등 규제 정책을 폈다. 실제로 시드니 주택 중위가격(중간값)은 지난해 말 기준 약 78만달러(약 8억8500만원)로 1년 전보다 11.3% 하락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 매년 30%씩 오르던 캐나다 토론토와 밴쿠버 주택가격도 정체기에 들어섰다.

그러나 이들 집값은 소득 수준과 비교해 여전히 매우 비싼 수준이다. 예컨대 시드니 평균 집값은 중위소득의 12배가 넘는다. 세계적인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에서 호주시장을 담당하는 브래들리 스피어스는 "90% 오른 시장에서 10%포인트 떨어지더라도 여전히 80%나 상승한 것"이라고 했다. WSJ은 다만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면서 "런던과 뉴욕은 규제를 풀어 고층 건물을 늘리고, 신기술이 적용된 소규모 주택 건설로 공급을 늘리고 있다"고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