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준비 실패 선언한 영국

머니투데이 강기준 기자 2019.02.27 16:51
글자크기

英정부 '노딜 브렉시트'시 경제 9% 축소 보고서 발표…메이 총리도 최대 3개월 연기 가능성 언급

/AFPBBNews=뉴스1/AFPBBNews=뉴스1


식량은 부족해지고 가격은 폭등한다. 무역 체계는 붕괴되고, 기업들이 부담할 관세 비용만도 170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이렇게 영국 경제규모는 향후 15년간 최대 9% 축소된다.

26일(현지시간) 영국 국무조정실은 아무런 합의 없이 유럽연합(EU)을 탈퇴하는 '노딜 브렉시트'가 현실화되면 경제에 이같은 영향이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CNN,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날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는 하원에 출석해 앞으로 한달 앞으로 다가온 브렉시트를 최대 3개월가량 연기할 수 있다고도 공식 선언했다. 먼저 내달 12일 브렉시트 합의안을 놓고 표결한 후 부결되면 다음날 노딜 브렉시트 표결을, 이마저도 부결되면 이튿날 연기를 놓고 투표에 들어가겠다고 한 것이다. 메이 총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해도 '연기는 없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에 대해 CNN은 결국 영국이 브렉시트 준비가 안됐다는걸 선포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영국은 오는 3월29일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브렉시트를 단행키로 시한을 정해놨다.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큰 문제는 '식량 부족 사태'이다. 보고서는 영국이 소비하는 식품의 30%가 EU에서 수입되는 만큼 노딜 브렉시트시 신선 과일과 채소 공급에 문제를 겪게 될 것이며 가격도 30%가량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식품 관련 업체들의 브렉시트 대비도 제대로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기관의 3분의 1도 브렉시트나 노딜 브렉시트에 대한 비상 계획안을 브렉시트 시한까지 마치지 못할 것으로 조사됐다.

대외적으로는 무역이 문제다.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여태껏 맺었던 자유무역협정(FTA) 등이 무효화돼 새로 협정을 맺어야 한다. 영국은 40여개의 무역 관련 협정을 맺어야 하는데 여태껏 서명에 성공한건 6건에 불과하다. 여전히 일본, 터키 등과는 시한내 새 무역협정을 맺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이 관세 부담으로 인해 짊어질 비용 부담도 170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해 줄도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영국은 노딜 브렉시트가 현실화되면 EU로 수출할때 소고기는 70%, 양고기는 45%, 자동차는 10%의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영국 24만개 중소업체 중 관세나 통관 관련 경험이 있는 곳은 4만개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향후 15년간 영국 경제 규모도 6~9%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다.


보고서는 "브렉시트 시한까지 정부가 노딜 브렉시트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킬 준비가 안됐다"고 마무리했고, CNN도 "영국이 완전히 준비하기엔 이젠 너무 늦었다고 인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계에서도 비난이 잇따랐다. 영국 상공회의소는 "영국 경제와 기업인, 개인의 생계에 재앙이 닥친다는 것"이라고 정리했고, 정치권에서도 "노딜 브렉시트의 재앙을 알면서도 협상 테이블에서 내려놓지 않는건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노딜 브렉시트가 "베네수엘라가 되겠다는 옵션"이라고 주장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