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저축은행 다중채무자, 10명 중 4명 대부업대출받는다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2018.09.20 18:17
글자크기

금감원 거시건정성 트레스테스트 모형 결과, 은행권 다중채무자는 375만명

16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계부채관리 간담회에서 김태영 은행연압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최종구 금융위원장의 모두발언을 듣고 있다.16일 오전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계부채관리 간담회에서 김태영 은행연압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최종구 금융위원장의 모두발언을 듣고 있다.


은행 대출을 받은 사람 가운데 33.7%인 375만명이 은행이 아닌 다른 금융회사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 대출자 중 은행과 보험사가 아닌 다른 금융회사 대출을 동시에 받은 대출자는 74만명(전체의 58.0%)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이 자체 개발한 거시건전성 스트레스테스트 모형(STARS2)을 통해 NICE 평가정보에 등록된 차주 1866만명 중 100분의 1인 18만6000여명을 대상으로 대중채무자 부실전염효과를 분석하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



금감원의 STARS2 개념은 일반적인 다중채무자와는 조금 다르다. 통상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동시 대출을 받은 차주를 뜻한다. 이에 따르면 은행 3곳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도 다중채무자에 속하지만 은행권은 동일한 대출심사 기준을 쓰기 때문에 사실상 은행 한 곳에서 대출을 받는 것과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STARS2는 이런 점에 주목해 2개 이상의 금융권역에서 동시 대출을 받은 차주를 다중채무자로 규정했다. 규제차이를 이용해 여려 금융권에서 더 많은 돈을 빌리는 풍선효과를 감안한 것이다. 또 다중채무자의 부실전염 위험성은 저축은행, 대부업 등 2금융권 보다는 은행이 더 크다고 봤다.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은 거래 차주가 은행 대출도 있다면 도리어 '긍정적'인 요소로 판단한다. 반면 은행은 저축은행과 대부업 거래 대출자에 대해 위험도가 있는 차주로 분류한다.



STARS2을 통해 18만6000여명의 다중채무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할부리스와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다중채무자가 대부업을 이용할 확률은 53%에 달했다. 자동차 할부에 저축으냉 대불을 받으면 10명중 5명은 대부업체 대출도 이용한다는 뜻이다.

또 은행과 대부업을 이용한 사람이 저축은행으로 갈 확률은 48%에 달했다. 은행, 저축은행 이용자가 대부업으로 갈 확률은 41%로 추정된다.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이 대부업을 이용할 확률도 44%로 추정됐다. 이는 다른 대출 없이 대부업만 이용할 확률이 6.8%에 그친다는 점과 대조적이다.

금감원은 다중채무자의 가계부채 부실 전염효과도 추정했다.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에 각각 계좌가 12개가 있다고 가정하고 대출을 못 갚는 사람이 은행에서 2명, 카드사에서 3명, 저축은행에서 4명일 경우 업권별 일반적인 부도율을 계산했다. 은행은 12분의 2, 카드는 12분의 3, 저축은행은 12분의 4다. 하지만 카드사나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못 갚는 사람은 순차적으로 은행 대출도 못 갚을 가능성이 높아 이를 반영하면 은행의 부도율은 12분의 5, 카드사는 12분의 5, 저축은행은 12분의 4로 나왔다. 은행과 카드사의 부도율이 예상 범위를 넘어선 것이다.


황태식 금감원 팀장은 "다중채무자의 부도는 여신전문,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등 2금융구너의 대출자산의 부실로 나타나고 이는 시차를 두고 은행 대출자산 부실까지 전염된다"며 "이로 인해 은행은 예상 범위를 초과하는 손실을 경험한다"고 지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