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근무' 한달 앞둔 재계…'선택'의 시간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안정준 기자 2018.05.30 05:30
글자크기

삼성전자 유연·재량근무제 대책 잇따라…"탁상행정에 고육지책" 지적도

'주52시간 근무' 한달 앞둔 재계…'선택'의 시간


한달여 앞으로 다가온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맞춰 기업들이 유연근무제 등 대책 마련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77,600원 ▼400 -0.51%)는 주 단위 자율 출퇴근제를 월 단위로 확대한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근무시간 관리에 직원 자율권을 부여하는 재량근로제를 오는 7월부터 도입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일할 때 일하고 쉴 때 쉬는 효율적인 근무 문화를 조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시행되면 주 40시간이 아니라 월평균 주 40시간 안에서 출퇴근 시간과 근로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하루 4시간 이상은 근무해야 한다. 한달 근무일수가 20일이라면 '20일×8시간'으로 총 160시간을 업무량에 따라 하루 4시간 이상씩 조율해 일할 수 있게 된다.

재량근로제는 업무수행 방법이나 근로시간 관리를 전적으로 직원에게 맡기는 일종의 성과주의 근무제다. 하루 최소 근무시간이나 주 단위 근무시간 제한이 없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과 사무직 직원 가운데 특정 전략과제를 수행하는 대상자를 별도 선정해 재량근로제를 적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제조 부문에선 에어컨 성수기 등에 대비하기 위해 3개월 탄력적 근무시간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한화케미칼 (26,500원 ▲550 +2.12%)도 다음달부터 2주 8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야근을 하면 2주 안에 해당 시간만큼 단축근무를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유연근무제를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한달 동안 시범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 뒤 오는 7월부터 정식 시행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오전 7시부터 오전 10시 사이 30분 간격으로 출근 시간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시차출퇴근제와 현금처럼 사용하는 복지 포인트 제도도 도입한다.


계열사에선 한화첨단소재가 탄력근무제와 시차출퇴근제를 이미 시행 중이다. 한화큐셀은 지난 4월부터 노사합의에 따라 3조 3교대 주 56시간 근무제에서 4조 3교대 주 42시간 근무제로 전환하고 500여명을 신규 채용했다.

삼성과 한화 외에도 상당수 대기업이 올 들어 주 52시간 근무 시대 대비에 나선 상태다.

현대자동차는 공장 생산직을 대상으로 2013년 주 40시간 근무제를 도입한 데 이어 올 들어 사무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이달부터 본사 일부 조직에선 오전 10시~오후 4시 외에 나머지 시간은 여건에 맞춰 출퇴근하면서 근무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시행 중이다.

SK그룹의 경우 SK텔레콤 (50,800원 ▼200 -0.39%)이 2주 단위로 총 80시간을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는 자율근무제를 도입했다. 첫 주에 50시간을 일하면 다음 주에 30시간만 일하는 방식이다.

LG전자 (92,400원 ▲900 +0.98%)는 지난 2월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한꺼번에 도입했다. 사무직 직원은 주 40시간 근무를 전제로 하루 4~12시간을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 계절이나 시기에 따라 업무량이 달라지는 생산직의 경우 3개월 단위로 평균 주 52시간 근무를 맞추도록 했다.

LG디스플레이 (10,550원 ▲170 +1.64%)는 지난 2월부터 플렉시블 타임제를 도입, 출퇴근 시간을 오전 6시~오후 2시 사이에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했다. 포스코도 주 40시간 조건에서 부서별 상황에 맞춰 사전 승인 후 자율출퇴근제를 실시하고 있다.

재계에선 기업들의 자구책 도입이 고육지책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근로시간 단축이 연구개발 환경이나 산업별 성수기에 관계없이 사실상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데 따른 부작용을 두고 고심이 크다는 지적이다.

삼성전자가 도입하기로 한 재량근로제도 이런 고민 끝에 나온 해법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올 초 국회 논의 과정에서 최대 3개월까지 허용된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을 1년으로 확대해 달라고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에선 주 52시간 근무가 기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고 하지만 현장에선 일방통행식 탁상행정이라는 비판도 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 논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