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여의도 '낙하산 경계령'

머니투데이 송선옥 기자 2017.10.30 17:31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찬바람이 불자 여의도 증권가에 ‘낙하산 경계령’이 내려지고 있다.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의 임기 만료가 속속 다가오면서 하마평이 들끓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 하지만 올해는 유독 낙하산에 대한 우려가 크다.

임기 만료가 다가오는 증권사들은 줄잡아 10여 곳에 달한다. 윤경은·전병조 KB증권 사장이 12월 말 임기가 끝나고 윤용암 삼성증권 사장은 내년 1월 임기가 마무리된다.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 임기는 내년 2월이고, 김원규 NH투자증권 (12,430원 ▲30 +0.24%) 사장과 이진국 하나금융투자 사장은 내년 3월까지다.



이밖에 대신증권, 키움증권 (128,300원 ▼2,600 -1.99%), 교보증권, 하이투자증권 등의 수장들도 올해 말과 내년 초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9월 초 임기가 만료된 신성호 사장의 후임 선정을 아직도 진행 중이다.

오너 체제가 아닌 증권사가 CEO 선임 과정에서 외풍에 시달리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NH투자증권, KB증권, 하나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 등 은행지주 산하 증권사의 경우 지주사 회장이나 은행장 선임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CEO가 움직였다.



그러나 올해 여의도 증권가에 내려진 경계령은 정권 입김을 받는 낙하산에 대한 것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동문으로 낙하산 의혹을 받은 김지완 전 하나금융 부회장이 부산은행,경남은행을 거느린 BNK금융지주 회장이 된데 이어 부산 출신 정지원 한국증권금융 사장이 최근 한국거래소 이사장에 내정되면서 이 같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물론 이들의 선임이 외풍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요즘 같은 세상에 대놓고 낙하산 CEO는 있을 수 없다"면서도 “증권사나 금융지주가 알아서 ‘정권 코드 맞추기’에 나선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하산 포비아(공포증)’가 번지는 것은 증권사, 더 나아가 한국 금융회사들의 취약한 지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이 아닐까.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1~3년차 증권사 CEO에 비해 3년차 이후 CEO의 성과가 높았다. 2001년부터 2016년까지 71개사, 179명의 CEO 자료를 대상으로 재임 기간의 현황과 경영성과, 경영활동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자기만의 경영 노력이 성과를 내려면 1, 2년 가지고는 힘들다는 설명이다. 특히 증권사 수익구조는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중심에서 IB(투자은행)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여기에 대응하려면 중장기 전략과 투자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여의도 장수 CEO 중 한 명인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이 내년 초 12연임에 도전한다. 증권가에서 원하는 것은 ‘실력 있는 CEO가 오래 살아남는 것’ 단 하나다. ‘제2의 유상호’가 많이 나오려면 낙하산 경계령부터 풀어져야 할 것 같다.

[우보세]여의도 '낙하산 경계령'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