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일기⑪] "누가 이 땅의 주인인가?"

뉴스1 제공 2016.12.17 07:05
글자크기

김성수 시사문화평론가(48) …촛불집회 50일 맞아

(서울=뉴스1) 사건팀 =
촛불집회에서 제자의 학부모 부부를 우연히 만나 찍었다. 김성수 평론가는 맨 왼쪽. (김성수씨 제공) © News1촛불집회에서 제자의 학부모 부부를 우연히 만나 찍었다. 김성수 평론가는 맨 왼쪽. (김성수씨 제공) © News1


집안 일, 어린 아들 등의 핑계를 대면서 1, 2차 촛불집회를 참석하지 못했기 때문에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3차 촛불집회 때는 아예 집회 현장에서 후배들과 만나기로 약속을 하고는 집을 나섰다. 문득 87년 봄 생각이 났다.

87년 벽두에 날아든 박종철 열사의 죽음과 전방입소 투쟁부터 시작된 시위는 봄으로 가면서 더욱 뜨거워졌고 전두환의 4.13 호헌 선언으로 정점에 달했다. 대학 2년째를 맞은 나는 이른 봄부터 입학 때 품었던 푸른 꿈들을 접어 넣고 화염병을 만들며 참 한심하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누가 알아준다고 이러고 있는 것일까? 소수가 이렇게 희생한다고 세상이 바뀔 수 있을까? 과연 민주화가 된 내일을 살아볼 수나 있을까?



하지만, 그해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 7주기 추모미사에서 박종철 고문치사와 관련된 경찰의 은폐 조작이 폭로된 이후 세상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그 때 대학을 다녔던 사람들이라면 모두 기억하겠지만 매일 매일 학교 광장에 모이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시위하는 게 시끄럽다던 복돌이(?) 선배들이 개구리복을 입고 나왔고, 가두시위를 할 때면 자발적으로 시민들이 품어 주어 경찰의 연행을 피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6.10. 거리에 나온 수많은 시민들을 보면서 그만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그것은 최루가스 때문에 흘린 눈물은 아니었다. 신입생 사회과학 교육에 늘 도망다니던 뺀질이 신해철도 거리에서는 만날 수 있었다. 외치는 구호는 조금씩 달랐어도 모두가 또 다른 나였고, 모두가 한 마음이었다. 하지만 그해 겨울 대통령 선거의 쓰디쓴 패배감을 맛보며 다시 한 번 광장에서의 에너지를 느껴볼 수 없을 것 같아 표표히 흩어졌던 우리들이었다.



그 엄청난 에너지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던 것은 2002년 여름이었다. 정치적 메세지를 담은 구호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외치면서 우린 다시 거리에서 만났다. 그것은 또 다른 경이로움이었다. 함께 일상을 나누는 공동체가 같은 꿈을 꾸기만 한다면 그 꿈이 현실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까지도 우리는 확인할 수 있었다.

87년이 좌절로 끝났었다면 2002년은 승리의 경험이었기 때문에 더욱 큰 에너지를 형성할 수 있었고 그 에너지가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편에 나는 서 있었다. 혹자는 그것을 방향성 없는 에너지라고 폄하하기도 하고 국뽕이라고 조롱하기도 했지만 그 에너지는 촛불집회로 구체화되기 시작했고, 결국 14년 만에 명예혁명의 전야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광화문 역을 나서 거리를 걸으면서 난 87년과 2002년이 하나로 합쳐진 것을 확인했다. 나는 약속한 후배들보다 열 배는 많은 지인들을 만날 수 있었다. 87년에 함께 거리에 있던 선후배들을 만났고, 2002년에 함께 환호성을 올리던 제자와 배우들을 만났다. 모두들 약속을 하지도 않았지만 내가 가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아 거리로 나온 것이었다.


그들은 대한민국을 바꿔야 한다는 사실을, 그래야 우리 자식들이 세월호에 갇혀서 죽어가는 일이 또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에 더욱 더 질서 정연하게 더욱 더 명예롭게 그래서 더욱 더 강력하게 하나의 물결이 되어 있었다. 그러니 보라, 누가 이 땅의 주인인가?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