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기업 강점은 고용안정…정규직 비율 높은 곳만 골라"

머니투데이 남형도 기자 2016.10.11 05:42
글자크기

[청년취업 '서울형 강소기업'이 답이다-①인터뷰] 유연식 서울시 국장 "생활임금 이상 보장·지속가능성"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정규직과 생활임금을 보장하는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을 향후 1000개까지 늘려 청년들에게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사진=이기범 기자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정규직과 생활임금을 보장하는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을 향후 1000개까지 늘려 청년들에게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사진=이기범 기자


"중소기업들이 청년들을 고용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은 많은데 일자리 창출 효과는 왜 적을까."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50)의 고민은 이 질문으로부터 시작됐다. 정답은 그저 수치화 된 일자리가 아닌, 청년들이 오래 다닐 수 있는 '좋은 일자리'였다. 이를 찾기 위해 서울시가 직접 발 벗고 나서기로 했다. 깐깐한 심사를 거쳐 '정규직' 비율이 높고 '임금'도 괜찮은 중소기업들을 뽑아 '서울형 강소기업'으로 선정했다. 유 국장을 10일 만나 이에 대한 자세한 얘길 들어봤다.

기존에 정부 등이 시행했던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 정책의 실패 요인으로 유 국장은 '지속 가능성 부족'을 꼽았다. 그는 "중소기업들이 고용보조금을 받을 동안에만 청년들을 채용해 쓰다가 지원이 끝나면 고용을 더 이상 유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대다수가 정규직이 아닌 인턴 방식으로 고용해 언제든 해고할 수 있단 불안감도 컸다.



유 국장은 이에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정규직이 많고 직원 처우가 좋은 중소기업들을 직접 뽑기로 했다. 이른바 서울시가 인증하는 '서울형 강소기업'이다. 매출 등 기업 성장 가능성은 물론, 전체 직원 중 정규직 비율, 생활임금 준수 여부, 근무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따졌다. 지난 8월 '서울형 강소기업' 127곳이 이렇게 처음 선정됐다. 내년 200개 추가 선정에 이어 2018년까지 1000개로 확대할 생각이다.

서울형 강소기업의 차별화 된 강점은 무엇보다 '고용 안정성'이다. 유 국장은 "이미 정규직 직원 비율이 97.5%로 높은 기업들을 뽑았고, 서울시가 10개월 간 기업에 100만원씩 고용보조금을 주는데 청년들을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한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쉽게 해고를 못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성이 보장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서울형 강소기업은 직원들의 임금 수준도 서울시가 생활에 필요한 최소 임금으로 정한 '생활임금' 이상 받도록 보장된다. 유 국장은 "고용보조금 등을 합해 생활임금 이상 100% 주게 돼 있다"며 "근로자가 월 평균 52시간을 일한다고 가정하면 내년도 서울시 생활임금 8197원을 적용했을 때 최소 170만원 이상 월급을 받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형 강소기업으로 선정되면 기업 입장에서도 강점이 있다. 대다수가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 고용보조금과 함께 청년 구직자와 연계해 주는 것은 물론, 홍보수단이 마땅찮은 기업을 대신해 서울시가 적극 홍보에 나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유 국장은 "서울형 강소기업이 하나의 브랜드라 기업들이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며 "또 언제 선정하느냐는 문의가 최근 많이 오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서울형 강소기업에 속한 기업들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기업들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면서 뺄 기업은 제외하는 '질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유 국장은 "노무사들을 기업으로 보내 수시로 현장점검과 컨설팅을 하고, 청년들을 보내 취재탐방도 한다"며 "협약 조건을 어기는 기업은 서울형 강소기업에서 퇴출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