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조 신용잔고, 박스권 증시 널뛰기 뇌관되나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2016.08.30 17:27
글자크기
움직임이 둔한 박스권 증시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화두로 부상하면서 널뛰기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 이런 국면에선 개인 투자자들의 수익률이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곤 하는데, 특히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신용거래가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 신용거래 융자잔고는 각각 3조3786억원, 4조3974억원으로 합계 7조776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 들어 최고치(7조7924억원)를 기록한 이달 26일보다는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해 연말과 비교하면 1조2500억원 가량 늘어난 상태다. 신용거래가 9월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이슈와 맞물려 큰 손실이 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설이 돌던 올 연초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슈가 터진 6월에는 증시가 동반 급락, 깡통계좌가 급증한 사례가 있다.



일반적으로 증권사는 현금과 주식 등 자산의 2배 정도까지 신용거래를 허용한다. 업체별로 다르긴 하지만 신용한도까지 주식을 산 투자자가 30%가량 손실을 내면 담보를 확보하고 위해 주식을 강제로 파는 반대매매를 시행한다.

신용거래 반대매매가 급증하면 매물부담을 안겨 다시 주가가 하락하는 악순환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6월 증시가 그랬다. 당시 100곳 이상의 영업점을 보유한 한 증권사는 신용거래 계좌의 절반 이상이 반대매매 우려 계좌로 분류돼 난리가 나기도 했다.

5월 말 3조8880억원이었던 코스닥 신용융자 잔고는 6월말 3조6795억원으로 2000억원 가량 급감했는데, 이 가운데 상당수가 반대매매로 인한 강제청산이었다는 지적이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코스닥의 경우 총 발행주식 대비 신용융자 비중이 10%를 넘는 곳도 허다하다"며 "몇몇 종목의 경우 유통물량 기준으로 30~40%가 신용거래에 달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