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선진화의 길, 투명성 제고와 M&A 활성화가 답

머니투데이 오동희 기자 2016.07.04 05:41
글자크기

[OECD20년 대한민국, 선진국의 길]<4>-③

편집자주 대한민국은 선진국이다. 수출 세계 6위, GDP 규모 세계 11위 등 경제규모나 지표로 보면 그렇다. 이미 20년 전 선진국 클럽으로 분류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도 가입했다. 그러나 ‘헬조선’이라는 표현이 횡행하는 시대에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과연 선진국일까라는 물음에 우리는 자신 있게 답할 수 있을까? 머니투데이는 창간 15주년을 맞이해 지난 20년간 대한민국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진정한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앞으로 어디로 가야 하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기로 했다.

"기업경쟁력은 2류, 정치력은 3류, 행정력은 4류다."

1995년 4월 13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베이징에서 현지의 한국 특파원들과 비공개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21년 전 이 회장은 비보도를 전제로 했던 이 자리에서의 이 한마디로 당시 김영삼 정부로부터 '괘씸죄'에 걸려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받는 등 큰 고충을 겪었다.



21년이 지난 지금 2류였던 기업경쟁력은 나아졌을까. 일부 기업들은 선진 일류화의 길을 걷고 있지만, 최근 롯데나 대우조선해양 등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업 관련 비리 수사를 보면 아직 일류와 선진화의 길은 멀었다는 21년 전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아직도 맴돈다.

◇끝나지 않은 정경유착?...사외이사 논란=한국 기업의 선진화를 위해 선행돼야 할 과제로 기업의 투명성을 꼽는다. 투명성은 기업의 의사결정 구조의 명확성과 이에 대한 감시 기능이 살아있느냐와 관련이 있다.



특히 최근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문제 등이 거론되면서 사외이사의 적격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00년 이후 사외이사로 선임된 30명 중 60%인 18명이 관료 또는 정치권 출신이었다. 전문성이 결여된 '낙하산' 인사들이 기업 부실을 제대로 감시하지 못한 책임도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과 관련한 검찰 수사에서도 기업의 불투명하고 불합리한 이슈들이 드러나고 있다.

최근 네이처리퍼블릭 법조비리와 연루된 홍만표 변호사의 LG전자 사외이사 사퇴나, 조대환 변호사의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후보 지명 철회 등은 제대로 된 검증 없이 영향력만을 감안해 이뤄지는 사외이사 선정 시스템의 문제를 그대로 드러냈다.

익명을 요구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반기업 정서가 확산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분명 우리 기업에 있다"며 "기업 스스로가 사회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자정노력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선진 기업으로 가는 길은 다른 곳에 있다=한국 기업이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명성 제고와 함께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시스템 구축 등이 전제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이보다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해서는 M&A 시장 활성화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있다.

기업도 흥망성쇠의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라는 관점에서 성장을 위한 결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전 벤처기업협회장인 황철주 주성엔지어니어링 대표는 "기업이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흥망성쇠를 시장에 맡겨야 하며, 미국 등 선진국들처럼 M&A가 원활히 될 수 있도록 시장과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등의 문제보다 더 시급한 현안은 자금력이 있는 대기업이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을 인수해 더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래야 일자리도 생기고 새로운 창조경제가 만들어 질 수 있고, 그게 '선진화'라고 말했다.

오너 체제 시스템의 문제나, 대기업의 갑질, 기업 경영의 투명성 이슈 등은 우리 뿐만 아니라 엔론 등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진국에서도 형태를 달리 할 뿐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하지 못하는 있는 'M&A 활성화'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기업선진화의 길이라는 게 황 대표의 말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