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毒)사과' 품은 이동통신 시장? '꿩 먹고 알먹는 애플?'

머니투데이 성연광 기자, 진달래 기자 2015.10.26 16:41
글자크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제 대중화 도화선 작용…중장기 이통사 매출 '타격' 불보듯

'독(毒)사과' 품은 이동통신 시장? '꿩 먹고 알먹는 애플?'


‘약 사과 혹은 독 사과?’(통신사) vs ‘꿩 먹고 알 먹기.’(애플)

애플의 새 스마트폰 ‘아이폰6s·6s플러스’가 출시되면서 정체됐던 이동통신 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번호이동 시장도 모처럼 활발하다. 하지만, 이 시장을 바라보는 통신사들의 속은 편치않다. 중장기적으로 ‘아이폰6s’가 이통사들의 실적 악화를 가속화 하는 ‘도화선’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반대로 애플은 이래저래 손해 볼 게 없다. 단말기 지원금은 한 푼도 안 풀지만, 통신사가 약정할인 부담을 고스란히 지면서 가입자를 지켜주기 때문이다.

◇ 아이폰6s 가입자 대부분 20% 요금할인



23일 출시된 애플의 신제품을 선택하는 상당수는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했다.

이통사 대리점 관계자는 “10명 중 8~9명은 요금할인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이는 이통사들의 초기 단말기 지원금과 요금할인액간 격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이통 3사가 아이폰6s, 6s플러스에 책정한 최대 지원금은 SK텔레콤 12만2000원, KT 13만5000원, LG유플러스 13만7000원이다. 월정액 10만원대 요금제 기준이다.



아이폰6s 16GB모델로 10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할 경우, 소비자들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매장 추가지원금(15%)까지 합쳐 많아야 15만7550원. 반면 같은 요금제로 선택 약정할인제(20%)를 선택하면 요금 할인액은 총 52만8000원 상당(2년 약정 기준, 부가세 포함)이다. 무려 37만원 이상 차이가 발생한다.

◇선택요금할인제 일반화?…통신사 중장기 성장 ‘빨간불’

이통사들의 시름은 깊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동통신 가입자 중에서 선택 약정할인제를 선택한 가입자 수가 최근 270만명을 돌파했다. 정부가 요금할인 요율을 기존 12%에서 20%로 대폭 올린 데다, 각 매장에서 선택 약정할인제를 전면 홍보하면서부터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신규 단말기 구매자 중 20% 정도가 요금할인을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폰6s 구매자 대부분이 요금할인을 선택하면서 이 비중이 가파르게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요금할인 가입자가 늘면 늘수록 손해다. 월별 매출에서 고스란히 20%가 줄기 때문이다. 지원금은 일시적 마케팅 비용이다. 업계 관계자는 “요금할인 비중이 늘면 마케팅 비용은 줄어들겠지만, 요금할인 효과는 장기적으로 회사 실적에 악영향을 준다”며 “4분기 매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시를 통한 단말기 지원금과 요금할인간 균형 잡기는 국내 업체 간에는 일정 조율될 여지가 있다. 지원금은 제조사와 통신사가 시장 경쟁 상황과 재고량 등에 따라 조정한다. 8월 출시됐던 ‘삼성 갤럭시노트5’와 이달 초 출시된 ‘LG V10’의 초기 지원금이 프리미엄폰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초기 지원금이 많았던 이유도 제조사들의 지원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용자 입장에선 지원금과 요금할인 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꼭 요금할인을 택할 이유가 없다. 특히 지원금 상한액(33만원)이 없는 구형모델일 경우 더욱 그렇다.

반면 애플은 지원금 분담액 자체가 아예 없다. 아이폰 가입자에 주는 지원금이든 그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이든 전적으로 통신사의 부담이다. 애플의 지원금이 없으니 이용자는 무조건 요금할인을 택하는 게 유리하다.

그렇다고 이통사는 아이폰 이용자를 등한시 할 수 없다. 아이폰을 택하는 고객은 월평균매출(ARPU) 비중이 높은 고객층이기 때문이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환율 변동 탓에 아이폰 국내 출고가가 높아졌지만, 요금할인제와 경쟁 환경 변수 탓에 애플만 큰 손해 없이 국내 시장에서 장사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