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 진입한 중국경제…한국 대중 수출전략 바꿔야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2015.10.04 11:00
글자크기

중국 향후 5년간 6%대 성장 전망, 현대硏 "소비재·중간재 수출품 고급화 전략 필요"

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수출 전용부두 전경. /사진제공=뉴스1경기도 평택항 자동차 수출 전용부두 전경. /사진제공=뉴스1


1980년대 이후 30년간 10%대 고성장을 해온 중국경제가 6%대 중·저성장기인 이른바 '뉴노멀(New-Normal)'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른 대중국 수출감소로 우리경제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중국 금융시장 불안과 위안화 변동성도 우리경제에 대외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전략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연구위원 등 연구팀은 4일 공개한 ‘중국 경제 구조적 문제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뉴노멀 시대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수출전략 추진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상해 등 기존 중국경제 중심지인 동부지역에서 중서부지역으로 수요가 변화하는 중국시장을 겨냥한 소비재 수출의 차별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소재부품 등 중간재 수출품목도 고급화 전략을 모색할 단계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내 관광산업에 영향이 큰 중국인관광객(요우커)의 지속적인 유입을 위한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과 서비스의 질적개선도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보고서는 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중국 주도로 신설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을 적극 활용해 경제협력을 통한 이익 극대화 방안을 강구해 중국 경기둔화 리스크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국 경제는 국내 수요부진, 금융시장 불안 등 대내외 여건에 따라 기존의 고성장세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연구진이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기반으로 추산한 결과 중국의 2015년~2020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평균 6.2%로 둔화될 전망이다.


중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기준금리 인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등 경기부양책으로 위기를 돌파했다. 그러나 점차 내수중심으로 경제구조가 바뀌면서 2013년 이후에는 경기부양책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자료=현대경제연구원/자료=현대경제연구원
경기회복세가 지연돼 생산 가동률은 떨어지고 투자 효율성은 점차 하락하고 있다. 중국 한계자본지수(1단위 성장에 필요한 경제규모)는 1997년 3.9%에서 2014년 6.3%로 대폭 증가했다. 5000대 제조업 종사기업 평균 설비가동률은 2014년 1분기 77.6%로 국제 적정선(79~82%)을 밑돌고 있다.

북경, 상해 등 주요도시는 물론 지방도시 주택가격이 동반하락 하는 등 부동산 경기도 회복세가 지연되고 있다. 수출도 미국, 아세안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악화됐다. 올 8월까지전년동기대비 수출은 1.4%, 수입은 14.5% 각각 감소했다.

중국 금융시장 리스크도 문제다. 전체 금융자산 80% 이상을 차지하는 은행부문 부실화가 확대됐다. 상업은행 부실채권 비중은 2012년 3분기 0.95%에서 올해 2분기 1.5%로 늘었다. 불량채권 증가율도 올해 2분기 기준 전년동기대비 57% 증가했다.

중국 증시 변동성도 확대됐다. 올해 6월 5166포인트까지 상승했던 상하이종합지수는 불과 석달 만에 약 38%나 하락했다.

위안화 실질실효환율은 2015년 8월 기준 131.1포인트로 2010년보다 31.3% 절상됐다. 중국과 미국의 금리차는 2011년 7월 6.31%포인트에서 올해 8월 4.35%포인트로 축소됐다. 중국의 단기외채 비중은 1997년 13.9%에서 2014년 76.3%로 늘었다. 특히 올해 1분기 중국 단기외채 규모는 약 1조180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재진 연구위원은 “중국 증시불안, 달러화 대비 위안화 평가절하 등 금융부문 변동성 확대에 따른 국내 외국인 자금 이탈 시나리오의 사전적 검토와 대응책이 요구된다”며 “중국발 리스크에 따른 국내 소비, 투자 등 내수시장 위축 가능성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