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사람 있는데"…우리銀 매각안 '깜깜'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2015.07.08 05:30
글자크기

공자위 "7월 매각방안 논의 계획 없다"…2단계 매각안安 제기

"살 사람 있는데"…우리銀 매각안 '깜깜'


"우리은행을 사려고 투자자들이 줄을 선 건 아닙니다. 은행업 자체의 수익성이 좋지 않은 흐름이고, 규제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팔겠다'는 입장만 확고해지면, 국내외에 '움직일' 투자자들은 여럿 있습니다"(우리은행 고위 관계자)

'4전5기'에 나서는 우리은행 매각의 '골든타임'이 도래했다. 정부가 7월 중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기로 시간표를 짜면서, 과연 현실적 매각 방안이 나올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 안팎에선 우리은행의 '낮은' 주가를 이유로, 매각 방안을 미뤄야한다는 '속도조절' 움직임이 관측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관계자는 7일 "우리은행 매각 방안이 얘기될 공자위 회의 날짜는 물론 구체적으로 어떤 주제가 테이블에 오를지 정해지지 않았다"며 "지금 얘기할 수 있는 건 기존의 투자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논의해 보겠다는 원론적인 대답 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민영화 시도 과정에서도 공자위는 지난해 3월 관련 공청회를 시작으로 세부 매각방안을 확정하는 등 나름의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지만, 올해는 "이달 중 매각 방안을 찾을 것"이라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언급 외에는 별다른 '시그널'을 찾아보기 힘든 표정이다.



이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금융산업 발전 등 정부가 내세운 우리은행 민영화의 3대 원칙 모두를 충족할만한 방안의 도출이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기존에 시도했던 '경영권' 매각은 사실상 실패로 결론났다. 또 정부가 원금 회수의 목표로 제시하는 '주당 1만3500원' 달성 역시 만만치 않다. 지난 6일 종가 기준, 우리은행의 주가는 9450원이었다.

정부가 경영권 매각을 포기하고 지분을 쪼개 '과점주주'에게 분산 매각하는 방식을 검토하는 것으로도 알려졌지만, 역시 난관이 예상된다. 박상용 공자위원장이 최근 중동 국부펀드 등을 접촉하며 직접 수요조사에 나섰지만 '적극적인' 대답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고, 수요자 대상을 넓힐 수단인 금산분리 규제의 완화 역시 정치권과 여론의 반대를 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금융권 일각에선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추진하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51.4% 지분을 2단계로 매각하는 방식이 유력 거론되고 있다. △예보가 보유 지분의 절반 가량을 우선 매각하면 △우리은행은 그간 '족쇄'였던 예보와의 '경영정상화계획 이행 서면약정(MOU)'에서 벗어나고 △정체됐던 주가가 자연스럽게 상승해 △예보는 추가 지분 매각으로 공적자금 회수 목표를 달성한다는 논리다.


이는 예보와 우리은행의 MOU 관리계획서가 '100분의 50이하로 지분율이 낮아지면 MOU 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고 규정한 것에 근거한다. 공적자금 회수율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무작정 매각을 미룬다 해도 은행주의 획기적 반등을 기대하긴 어려운 환경인 만큼, 예보가 보유 지분의 상당량을 선매각해 '민영화' 의지를 피력하는 동시에 MOU 완화로 우리은행의 경영 자율성을 확대하는 게 주가 부양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란 평가다.

매각 시점이 올해를 넘길 경우, 매각의 동력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2단계' 매각방안이 제기되는 이유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우리은행 지분 매각이 올해 뚜렷한 성과를 보지 못하면, 내년 이후 예정된 총선과 대선 등의 정치일정으로 인해 정부 과제의 우선 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7월 공자위의 결정에 사실상 우리은행 매각의 성패가 달린 이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