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면세점 입찰, 결국 입지평가에 달렸다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2015.07.07 03:15
글자크기

운영능력·경영능력·사회환원 등 점수 격차 크지 않을 듯…입지 변수많아 막판까지 신경전 팽팽

서울 시내면세점 입찰, 결국 입지평가에 달렸다


서울 시내면세점 3곳의 운영자 발표일이 오는 10일로 다가오면서 입지를 둘러싼 입찰 기업간 팽팽한 수싸움이 펼쳐지고 있다. 관광객 유치 등 산업 활성화가 최우선이라는 입장과 균형 발전 측면에서 사업지를 선정해야 한다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관세청이 공개한 심사항목에 따르면 '입지'(관광인프라 등 주변 환경요소) 비중은 15%(1000점 만점에 150점)로 높지 않지만 최종 순위를 판가름할 결정적인 평가 항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평가비중 15% '입지', 신경전 팽팽한 이유=이번에 신규 운영자를 선정하는 서울 시내면세점 심사항목별 배점은 △특허보세구역 관리역량(250점) △운영인 경영능력(300점) △관광인프라 등 주변 환경요소(150점) △중소기업 지원 등 경제·사회 공헌(150점) △기업이익 사회환원 및 상생노력(150점) 등이다. 정부는 각사의 입찰조건을 검토해 기존 6개인 서울 시내면세점 외에 신규 면세점 3곳(대기업 2곳, 중소·중견기업 1곳)을 추가로 선정한다.

배점만 놓고 보면 심사비중 절반 이상(55%)을 차지하는 '관리역량'과 '경영능력'이 절대적인 항목인 것 같지만 입찰기업 대부분이 대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점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지원, 기업이익 환원 등 사회공헌 항목 역시 이번 입찰을 앞두고 모든 업체가 경쟁적으로 업적을 쌓은 만큼 차별화된 평가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계수, 계량화하기 어려운 분야 인 만큼 정성적 관점에서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다.

반면 입지 평가는 다른 항목에 비해 변수도 많고 셈법도 굉장히 복잡하다. 기본적인 관광 인프라 뿐 아니라 기존 면세점과의 거리, 교통·주차 상황, 중소기업 면세점 사업지 등에 따라 판도가 뒤바뀔 수 있다. 입찰 기업들이 사업제안서 제출 직전까지 다수 후보지를 놓고 고민하다가 막판에야 최종 입지를 선정하는 등 신경전을 벌인 것도 이 때문이다.

◇"관광객 유치" vs "균형 발전"…무게중심 따라 결과 달라질 듯=심사 과정에서 '관광객 유치 효과'와 '서울 균형 발전' 가운데 어느 쪽으로 힘이 실리느냐에 따라 입찰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관광객 유치, 주변 상권 활성화 카드가 부각하면 신세계의 남대문과 SK네트웍스·롯데면세점의 동대문이 유리하다. 신세계는 충무로 신세계백화점 본점 본관(명품관) 전체를 면세점으로 조성하겠다는 승부수와 함께 남대문시장 상권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SK네트웍스는 중국인 관광객(유커) 필수 쇼핑코스인 동대문을 아시아의 브로드웨이로 만들겠다는 사업구상안을 내놨다.

반면 지역균형 발전 측면에서는 HDC신라면세점의 용산과 현대백화점의 삼성동, 한화갤러리아의 여의도, 이랜드의 홍대 등이 높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현대산업개발과 호텔신라 합작법인이 선택한 용산은 강남·북을 잇는 서울의 중심이자 지방으로 연결되는 철도 관문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현대백화점이 사업지로 정한 삼성동은 입찰 후보지 중 유일한 강남권으로 주변 대규모 개발사업 인프라와 연계를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 여의도를 선택한 한화갤러리아는 한강과 63빌딩의 상징성, 인천공항과 가까운 접근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랜드는 복잡한 도심이 아닌 이대·신촌·홍대 등 서울 서부권을 관광코스로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기존 관광상권을 사업지로 정한 경우 교통·주차 혼잡, 기존 면세점과의 중복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지역균형 발전을 강조하는 사업지들은 관광상권 활성화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