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경영권 매각' 강행, 팔 수 있을까

머니투데이 김진형 기자 2014.06.23 09:39
글자크기

지분 30% 매각 불발되면 우리은행 민영화 미완의 과제로 남아

정부는 과거 3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 카드를 버리지 못했다. 분산매각을 병행해 26.97%의 지분을 매각키로 했지만 경영권이 달린 30% 통매각이 실패하면 우리은행은 그대로 정부 소유로 남게 된다. 게다가 경영권 인수를 희망하는 투자자가 많지 않아 30% 매각이 우리금융 민영화 성공을 가를 핵심이 될 전망이다.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 강행, 팔 수 있을까


◇경영권 매각 고수 왜?= 과거 3차례의 우리금융 민영화는 새로운 주인을 찾아주는 매각 방식이었다. 하지만 모두 실패했다. 우리금융을 통째로 인수하기에는 자금 부담이 컸고 유력한 인수후보에게 매각하기 위해 무리한 매각 방안을 추진하다 역풍을 맞기도 했다.



그럼에도 정부가 또다시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을 시도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풀이된다. 하나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다. 우리금융 지분 구조 상 30% 지분이면 안정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30% 지분을 인수하려는 투자자는 그만큼 경영권 프리미엄을 부담해야 한다.

물론 그동안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보다 '빠른 민영화'가 우선이라는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됐다. 그렇다고 공적자금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아예 포기하라는 얘기는 아니다. 정부 입장에선 시도해 보지도 않고 접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이유는 새로운 지배구조의 시도다. '주인없는 은행'이 관치를 유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주인있는 은행'도 하나쯤은 필요하다는 얘기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우리금융 매각 방안 발표 당시 "주인없는 은행은 만들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쉽지 않은 경영권 매각, 과거와 달라진 매각 조건에 기대= 하지만 경영권 매각이 쉬운 작업은 아니다. 국가계약법상 일반경쟁입찰은 복수의 후보가 경쟁하는 유효경쟁이 성립돼야 한다. 현재까지 우리은행 인수에 관심을 표명한 곳은 교보생명 뿐이다. 교보생명 외 투자자를 찾지 못하면 입찰 자체가 무산된다는 얘기다.

정부도 경영권 매각이 쉽지 않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가 희망을 갖는 것은 매각 여건이 과거와 달라졌기 때문이다.


우선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을 합병해 지주사가 아닌 은행을 매각한다는 점이 과거와 차이점이다. 우리은행이 아닌 우리금융을 매각하려면 제약이 많다. 금융지주회사법은 금융기관의 금융지주사 지배를 금지하고 있다.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지배하려면 지분 100%를 보유해야 한다. 그만큼 투자자를 찾기가 어렵다.

반면 은행으로 매각하면 상황이 다르다. 금융지주사가 아니기 때문에 은행 대주주 자격 요건만 채우면 누구라도 인수할 수 있다. 그만큼 잠재투자자의 범위가 넓어진다.

게다가 그동안 지방은행과 증권계열 자회사 등 우리금융 계열사들을 대거 매각해 버렸기 때문에 우리은행의 몸집이 가벼워졌다. 현재 우리은행 30%의 시가는 2조5000억원 정도다. 프리미엄을 감안해도 3조원 정도면 국내 대형 시중은행을 인수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은행업 업황이 악화되면서 투자 매력도 크게 떨어졌다는 점이 부담이다. 국내 은행들의 순이자마진, 수익 규모는 매년 추락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영권 매각을 위한 입찰에서 유효경쟁을 만들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은행업의 상황을 감안할 때 현재로선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공자위는 앞으로 2개월간 국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실시한다. 이어 9월에 매각공고를 내고 11월말에 입찰을 실시한다. 11월까지 복수의 투자자를 찾아낼 수 있느냐가 우리은행 매각 성공 여부를 가르게 될 전망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