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부자도시' 비결은 협동조합의 기적"

머니투데이 최석환 기자 2013.01.10 06:50
글자크기

[사회적 경제로 도시 재생하라]<2-2>인터뷰-장종익 한신대 글로벌협력대학 교수

편집자주 정부가 전망하는 2013년 경제성장률은 3%.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저성장은 국민들의 급증하는 복지수요를 충족해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는 크나큼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구조화된 저성장 터널에 진입한 한국경제에 희망의 불빛은 아직 살아있다. 유럽 미국 등 이미 서구에서 저성장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사회적 경제가 해답이다. 사회적 경제란 사회적기업·협동조합·비영리단체·공동체기업 같은 사회적 목적을 띤 조직들이 영위하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이들은 지역 개발·복지·교육 같은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저성장 기조 속에서도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머니투데이는 신년기획으로 사회적 경제로 저성장의 터널을 벗어난 선진국 도시사례를 5회에 걸쳐 소개한다.

"伊 '부자도시' 비결은 협동조합의 기적"


 "협동조합도 기술과 경영, 자본조달의 혁신은 물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영역 개발 등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실용주의적 관점이 필요합니다."

 장종익 한신대 글로벌협력대학 교수(사진)가 초기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성공적 발전을 위해 제시한 조건이다. 협동조합 전문가인 장 교수는 9일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동조합은 살아남을 수 없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협동조합이 발전한 도시로 이탈리아의 볼로냐를 꼽으며 "볼로냐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연대적 관점과 함께 실용주의적 관점을 견지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협동조합들이 꽃을 피울 수 있었다는 것"이라고 전제했다.

 이어 "볼로냐는 피렌체 등과 더불어 중세자치도시가 발달한 지역이었으며, 일찍부터 자립적이고 기술을 중시하는 소규모 직공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해 협력하는 경제가 발전해온 곳"이라며 "이런 자치와 협동의 전통문화가 협동조합 발달의 큰 자양분이 됐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볼로냐가 수도인 에밀리아로마냐주(州)의 1970년대 경제상태는 이탈리아 20개주 중 바닥 수준이었는데 오늘날에는 유럽연합의 122개 지역 중에서 10번째로 잘 사는 곳이 됐다"며 "실업률도 7% 수준에 불과하고 지역의 1인당 소득도 전국 평균보다 30%나 높은 곳으로 변신했다"고 말했다.

 그는 볼로냐지역 내 협동조합의 특징을 4가지로 요약했다. 장 교수는 "협동조합 지원을 위한 금융체계를 갖추고, 협동조합연대기금을 법적으로 의무화해 협동조합 설립을 촉진했다"며 "동종 협동조합 간의 수평·수직적 네트워크, 이종 협동조합 간의 컨소시엄 등을 결성해 협동조합 설립을 도왔다"고 설명했다.

 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동조합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세제혜택 등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했으며 협동조합 발전경로의 다양성도 인정해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볼로냐 지역엔 종업원 5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주로 발전했는데, 협동조합 간의 컨소시엄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주정부가 지역개발공사를 설립해 지역혁신정책을 함께 추진한 것이 이 지역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마지막으로 지역의 '내발적 발전'(Endogenous Development), 각종 휴먼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 독과점에 대한 대응 등 최근 우리나라 경제가 직면한 과제 해결에 협동조합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협동조합은 투자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에 비해 조합원의 필요 충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장기투자와 경영의 안정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며 "기업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민주적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화와 기술혁명의 시대에 중소규모의 다양한 협동조합 기업들이 지역과 업종을 축으로 전략적 제휴나 컨소시엄, 연합회 등을 통해 활동하면 경영의 안정성과 전문성은 물론 승자독식의 폐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