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도 레스토랑처럼 품격있게..프리미엄 '내식족' 잡아라

머니위크 강동완 기자 2012.10.18 12:33
글자크기
한국은행이 전국 56개 도시 2050가구 대상으로 한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외식, 내구재, 여행 비용 지출이 향후 6개월 간 모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처럼 외식 대신 내식을 택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유통업계가 이러한 내식족을 겨냥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최근의 내식족은 단순히 외식을 억제하는 과거 불황형 내식족과 달리, 소비의 규모는 줄이더라도 외식의 특별한 경험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이 특징.

유통업체는 이러한 ‘프리미엄 내식족’을 겨냥, 레스토랑 등에서 맛볼 수 있는 디저트와 고급 정식 메뉴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제품을 출시하며 구애에 나서고 있다.



청과회사 돌(Dole)코리아는 지난 달 신선한 바나나에 고급 다크 초콜렛을 입힌 프리미엄 과일 디저트 ‘돌(Dole) 바나나 디퍼’를 출시했다.

과일을 초콜렛에 찍어 먹는 초콜렛 과일 퐁듀에 착안해 개발된 제품으로 고급 디저트 제품에 관심이 높은 프리미엄 내식족을 적극 겨냥하고 있다.

돌 코리아 김학선 이사는 “디저트 카페나 유명 호텔 레스토랑에서 즐길 수 있는 과일 초콜렛 퐁듀를 가정에서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개발한 제품으로 지난 7월 출시한 이래 350% 의 성장세를보이는 등 좋은 반응을 얻으며 프리미엄 디저트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며 “올 해 전략 상품으로 선정, 판매 채널 등에서 고객의 체험을 확대하는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라고 전했다.


대상청정원은 프랑스 고급 디저트의 하나인 무스를 컨셉으로 한 아이스크림과 젤리의 중간 형태의 가볍고 부드러운 디저트를 직접 집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무스 믹스’를 내놓았다.

전문점에서나 맛볼 수 있는 프리미엄 디저트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CJ제일제당은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빕스(VIPS) 셰프의 노하우를 담은 버거스테이크, 바비큐폭립, 피자 등 총 5종으로 구성된 ‘프레시안 바이 빕스(by VIPS)’를 새로 출시하며 프리미엄 내식족 잡기에 나섰다.

회사 측은 프리미엄 스테이크하우스 ‘빕스(VIPS)’의 전문 셰프들과 공동으로 개발했다는 점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다.

패밀리 레스토랑 등 대표적인 외식업체도 매장보다 가격이 최대 40%나 저렴한 실속형 테이크아웃 메뉴와 도시락 메뉴 등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아웃백스테이크는 도시락 메뉴를 지난해 5% 수준에서 올해는 10% 수준으로 확대했다.

애슐리의 테이크 아웃 메뉴 전문점인 애슐리 투고'는 올 상반기 매출이 전년 대비, 160% 늘었다.

또한, 종합요리식품기업 ㈜아워홈도 한식 패스트푸드 브랜드 '밥이답이다'와 정통 돈카스 브랜드 '사보텐'의 도시락 전문 매장을 최초 운영할 계획이다.

밥이답이다의 불닭, 비빔밥, 삼겹구이, 갈비구이, 사보텐의 로스카스, 히레고로케, 텐더에비카스 등 기존 매장의 메뉴들로 다양한 도시락으로 구성됐으며 가격은 30~40%를 낮췄다.

프리미엄 내식족을 위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며 식품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잡아 감에 따라, 더 넓은 소비자층을 겨냥한 다양한 외식 메뉴의 출시도 잇따르고 있다. 주로 젊은 층이 선호하는 양식과 일식 뿐 아니라 면류 및 중식과 불고기 등도 프리미엄 내식 제품을 출시하며 인기 몰이를 하고 있다.

한식 레스토랑으로 알려진 불고기브라더스의 ‘서울식 불고기’는 이미 매년 18만 팩씩 홈쇼핑에서 판매되며 프리미엄 내식 시장의 인기 제품으로 인지도를 굳혔을 뿐 아니라, CJ 제일제당이 ‘제일제면소 냉장면'은 출시 3개월 만에 누적매출 25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인기 중식 레스토랑 '차이나팩토리'와 손잡고 출시된 딤섬은 새로운 내식용 딤섬 시장을 창출하며 프리미엄 내식 시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최근 프리미엄 내식에 대한 수요 증가는 단순히 식비를 아끼는 차원이 아닌 편안한 가정에서 위로를 얻고 가족과 즐기고 싶다는 심리적인 욕구도 잠재되어 있다”며 “특히 과거에 비해 더 다양해진 홈 요리 프로그램로 인한 고급 식생활 경험 증가와 계속되는 불황으로 인해 비용 대비 효율성 모두를 고려하는 양면적 트렌드로 인해 프리미엄 내식 제품의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