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희망 채용', 기업들 "장기투자" 공감

머니투데이 이상배 기자 2012.09.17 05:50
글자크기

[기획]'희망 채용, 대한민국을 바꾼다'

↑13일 서울 소공로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주최 '저소득층 열린채용 10대 그룹 간담회'의 모습↑13일 서울 소공로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주최 '저소득층 열린채용 10대 그룹 간담회'의 모습


지난 13일 오전 7시30분 서울 중구 소공로 프라자호텔 4층, 창 너머로 서울 시청이 내다보이는 회의실 '파인룸'.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과 주요 그룹 인사 담당 임원 7명이 '저소득층 열린채용 10대 그룹 간담회'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민간기업에서 일기 시작한 사회적 약자 채용 확대 움직임에 정부도 본격적인 힘을 보태기 시작한 것.

주요 그룹들 모두 '가난의 대물림'을 끊고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괜찮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신분상승의 희망을 열어주는 '희만 채용'은 기업입장에서도 장기적 투자라는 인식이다.



김영기 LG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부사장은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해 가산점 부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많은 인원들이 함께 근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 LG그룹은 이번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하기 이전에 저소득층 채용 확대 계획을 확정하고 채용공고를 통해 공지했다.
포스코도 서류 전형시 저소득층에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롯데그룹 역시 롯데제과, 롯데리아 등 2개 계열사에 같은 제도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서류 전형을 이미 시작한 터여서 대신 필기 전형인 인적성검사(SK종합적성검사) 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을 택했다. 현대차그룹과 한화그룹 등은 아직 저소득층 채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지 못했다.



민간기업이 저소득층 채용을 늘림으로써 '민간 사회 안전망' 기능을 담당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사례를 찾기 힘든 시도이다.
이때문에 기업들이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첫째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저소득층 채용을 늘려야 하느냐는 것이다.예컨대 저소득층에게 주는 가산점을 사전에 확정하면 추가로 채용되는 저소득층 지원자의 수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반면 삼성그룹처럼 전체 인원의 5%라는 식으로 할당량을 정해두면 채용 대상의 '수준'을 유지하지가 곤란하다. 삼성은 이를 감내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SK그룹 등은 그룹 차원에서 가산점을 일괄적으로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저소득층 채용 대상자들의 조직 융합 문제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저소득층 할당 또는 가산점 등을 통해 채용된 사원이 다른 사원들과 잘 섞여서 일할 수 있을지가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때문에 대기업들은 채용 절차는 물론, 채용이후에도 철저히 비밀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셋째 어학 등 일부 역량의 차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각 기업마다 어느 정도 이상의 외국어 회화 능력 등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의 수준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어 회화 같은 경우는 학원 수강 또는 해외 연수 등을 통해 실력이 느는데, 이같은 기회에서 제외돼 온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역량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채용 이전 교육과정에서부터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 '희망채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