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뇌사 추정 사망자 모두 조사한다

머니투데이 이지현 기자 2012.06.21 12:00
글자크기

뇌사자 뜻 기리기 위한 생명나눔 공원도 조성, 조성 형태 등은 논의 중

정부가 장기 기증 활성화를 위해 뇌사자 발생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의료기관에 대해 뇌사 추정 사망자를 전수 조사토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금까지는 병원이 스스로 뇌사자라고 신고한 자료에만 의존해 뇌사자 발굴 및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21일 장기기증법 개정 1년을 맞아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관리체계 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올해부터 '장기기증 활성화 프로그램'을 49개 병원에 시범 적용하고 단계적으로 모든 뇌사 발생 의료기관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장기기증 활성화 프로그램은 신경외과 중환자실 사망자 자료를 바탕으로 뇌사자를 단계별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미국,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해당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뇌사자 통계를 알 수 있게 된다"며 "기존에는 병원 자체의 신고로 추정만 했지만 앞으로는 100%에 근접한 뇌사자 수치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장기기증 유족에 대한 현금 보상 지원(장례비+위로금+치료비, 최대 540만원)을 유족의 선택에 따라 장제지원 서비스 등으로 전환해 지원하고 '생명나눔공원(가칭)'을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복지부는 이 공원을 조형물, 기념탑, 기증자 명단 등이 있는 순수 공원 형식으로 할지, 납골당 등이 있는 추모공원 형식으로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골수, 안구, 췌도, 소장 등 9개 장기로 한정된 이식 대상 장기의 폭을 넓혀 대장, 위장, 십이지장, 비장 등 복강 내 부수장기도 소장과 동시에 이식을 하는 경우 허용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6월 '뇌사추정자 신고제', '장기구득기관 도입' 등으로 뇌사 기증자가 상당히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008년 256명이었던 기증자는 올 5월 기준 174명으로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말 420명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인구 100만명 당 장기기증자수는 7.2명으로 스페인(34.4명), 프랑스(25.3명), 미국(25.9명)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무엇보다 국민과 의료진 모두가 장기기증을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며 "장기기증체계와 기증 문화가 세계적 수준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책 개선 방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