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1단지 재건축 승인 '좌절'…조합원들 '분통'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2012.04.05 10:34
글자크기

(상보)서울시, "다른 단지들과 소위원회 논의"…조합 "조합차원 강경대책 마련"

↑지난달 2월29일 서울 강남구 개포지구 재건축 아파트단지 조합원들이 개포 재건축 정비계획에 대한 서울시 조속한 승인을 요구하며 항의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홍봉진 기자↑지난달 2월29일 서울 강남구 개포지구 재건축 아파트단지 조합원들이 개포 재건축 정비계획에 대한 서울시 조속한 승인을 요구하며 항의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홍봉진 기자


"생색내기용 상정이었다는 게 증명됐다. 미련없이 서울시를 압박하자."

소형주택 비율 확대 등으로 서울시와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 정비계획안이 결국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하자 조합원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조합은 법적으로 문제없는 정비계획에 대한 승인을 소위원회 검토라는 절차상의 이유로 보류시킨 것은 결국 총선을 앞두고 예민한 결정을 회피하기 위한 서울시의 '면피행정'이라고 지적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4일 열린 제6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개포1단지 재건축정비계획(안)이 보류됐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도시계획위 소위원회로 위임해 검토 중인 개포주공2~4단지, 시영아파트와 함께 개포1단지도 소위원회 논의를 거쳐 재상정할 방침이다.

도시계획위원회의 이같은 결정에 개포1단지 조합원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조합원 카페와 조합 홈페이지를 통해 조합차원의 강경한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포1단지 한 조합원은 조합 홈페이지에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였다"며 "더이상 서울시에 끌려다니지 말고 조합차원에서 행정소송, 선이주대책 등을 적극적으로 실행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초 부동산업계에서는 개포1단지 정비계획안이 한 번에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하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시가 개포1단지에 대해 60㎡ 이하를 기존 소형주택 가구수(5040가구)의 절반인 2520가구, 85㎡ 초과 물량의 최소 10%에 해당하는 250여가구를 부분임대로 공급하길 요구하고 있어서다.

이번에 제출된 개포1단지 정비계획을 살펴보면 기존 5040가구를 6340가구로 재건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중 전용 60㎡ 이하 소형은 20.2%인 1282가구이고 나머지는 60~85㎡ 2530가구, 85㎡ 초과 2528가구 등이다.


부분임대는 일단 조합원 전수조사결과를 바탕으로 56가구를 추가하는데 그쳤다. 결국 소형주택과 임대주택 물량 확대를 원하는 서울시의 방침에 전면으로 맞서는 셈이었다.

오는 11일 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불필요한 논란거리를 만들지 않으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는 게 관련업계의 분석이다. 시 관계자도 "선거 전 어떠한 결정을 내리더라도 관권 개입 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절차상으로도 소위원회 검토없이 바로 상정 돼 통과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조합은 오는 10일 서울광장에서 조합원 10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항의집회를 진행할 방침이다. 구충서 개포1단지 조합장 직무대행은 "시가 주민의사를 수렴해 보자고 하는데 조합원들의 의사는 원안으로 이미 정해져 있는 상태"라며 "일단 심의에 들어간 것은 잘된 일이지만 원안 통과에 대한 조합의 입장은 단호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에서는 개포2~4, 시영 정비계획에 대해 "소형 주택의 확보계획 및 주택규모별 공급비율은 단지별 특성과 형평성, 공급규모별 부담금 등을 고려해 주민과 구, 시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요지의 조치결과를 각 추진위원회에 통보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