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은 없고 채찍만…"부동산시장 숨통 더 조였다"

머니투데이 전예진 기자 2011.04.21 05:50
글자크기

[3·22대책 한달<1>]수도권 거래 뚝…양천구 이달 10건 그쳐

편집자주 "거래 활성화 대책이 오히려 화를 키웠다." 3·22 주택거래 활성화 방안이 나온 지 한달째. 부동산 전문가들과 건설업계의 일관된 평가다. '당근'(취득세 인하, 분양가상한제 폐지)은 주지 않고 '채찍'(DTI 규제)만 때리니 역효과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수도권 부동산 거래는 끊겼고 서울지역의 아파트값은 하락세다. 반면 이번 대책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지방은 활기를 보이면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지방은 청약·경매 열기…양극화만 불러
- 중견건설사 줄도산 공포도 매수심리 위축


◇ 수도권 거래 올스톱, 집값 하락에 '울상' VS 지방만 활기

이달 들어 수도권 부동산은 침체의 골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2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에 계약이 이뤄진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500여건으로 전달(3500여건)의 14%에 그쳤다.



열흘 이상 남은 기간을 감안하더라도 급격히 줄어든 수치다. 대책 이후 DTI 규제의 영향을 받은 양천구는 지난달 100여채가 거래됐지만 이달 들어 신고된 매매건수는 10채를 넘지 않는다.

양천구 신정동 유진공인 관계자는 "지난달만 해도 전세난 때문에 중소형 아파트는 나오자마자 팔렸지만 이달엔 시세보다 500만원 싼 물건도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며 "봄 이사철 수요가 마무리되면서 전세거래도 줄어 중개업소는 개점휴업 상태"라고 말했다.



거래가 줄면서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반 하락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4월들어 수도권 아파트값은 2주 연속 하락했다. 그동안 강세를 보인 중소형 아파트값마저 약세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분당, 용인 등 전용 85㎡ 이하 아파트가격이 500만~1000만원가량 떨어졌다. 동시에 지난해 7월 이후 39주째 상승한 서울 전셋값도 함께 하락했다.

↑ 3.22 주택거래활성화 방안 이후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3.22 주택거래활성화 방안 이후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DTI 규제 등 3·22대책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지방 부동산시장은 활기를 띤다. 국민은행의 주간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수도권의 집값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광주, 부산 등 주요 광역시의 집값은 매주 0.5%대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매매가가 오르면서 저렴한 시세에 내집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들이 몰려 경매열기도 뜨겁다. 지난달 광주·강원 아파트의 경매낙찰가율은 지난달 최고치를 기록했고 부산은 평균 응찰자수가 12명을 넘어 전달 세운 최고기록을 넘었다.

신규분양시장의 청약열풍도 거세다. 부산에서 시작된 청약열기는 경남 김해·양산 등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지난 8일 청약접수를 받은 부산 사하구 다대푸르지오 2차는 최고 114대1까지 경쟁률이 치솟았고 울산 우정혁신도시에서 분양한 푸르지오도 1순위 마감행진을 이어갔다.

당근은 없고 채찍만…"부동산시장 숨통 더 조였다"
◇ 부동산 시장 악재 연속…수도권은 침체 확산 우려

부동산 전문가들은 물가상승, 금리인상,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활, 비수기, 3·22 부동산대책의 불확실성 등 5가지 복합적인 악재가 이어지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최근 삼부토건, 동양건설 등 중견건설사들의 잇단 법정관리 신청이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건설사의 부도공포가 확산되면서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는 지적이다.

강남구 도곡동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수의향을 보인 사람들에게 전화하면 요즘처럼 하루가 멀다하고 건설사들이 도산하는 판국에 집을 사기가 불안하다며 계약을 미룬다"며 "특히 지난주에는 거래계약이 없었다는 공인중개사가 많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당분간 수도권은 침체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호연 부동산114 팀장은 "거래활성화 방안이 나온 지 한달이 됐지만 구체적인 대책이 확정되지 않아 관망세를 부추기고 있다"며 "취득세율이 감면되더라도 효과가 크지 않고 주택투자 수익성에 대한 실망감에 따른 거래 부진이 근본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거래부진과 가격보합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찬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연평균 주택가격이 최소 3% 정도 올라야 주택구매동기를 자극해 거래가 이뤄지는데 지금처럼 매매가가 하락하는 추세가 이어지면 집을 구입하려는 수요는 더 줄어들 것"이라며 "분양가상한제 폐지, 거래세 완화, 양도세 중과 폐지 등 추가 규제 완화를 통한 시그널을 통해 거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