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늪에 빠진 '중견건설'…"허리 끊어진다"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1.04.13 18:57
글자크기

100대 건설사중 25개 워크아웃·법정관리, 주택사업용 PF 대출이 부메랑

중견건설업계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늪에 빠져 급속히 와해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년 동인 100대 건설사 중 25개사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또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밟고 있다. 특히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 중인 건설사들중 30~50위권이 절반을 넘는 13개에 달한다.

주택사업에 주력하던 중견건설사들이 도래하는 PF 대출을 갚지 못하고 자금난이 악화되면서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헌인마을 프로젝트에 무너진 삼부토건
삼부토건 (1,670원 0.00%)은 토목분야에 강점을 가진 대표적인 건설사다. 지난해 공공부문 토목사업 매출이 전체 매출액 대비 69.48%인 5819억원인 반면 건축사업은 18.60%(1557억원), 자체 분양사업 매출은 7.9%(659억원)에 불과하다.

미분양도 없고 시세가 1조원대로 추정되는 서울 역삼동 라마다르네상스호텔과 경주 도뀨호텔(현 콩코드호텔) 등 알짜 자산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 토목공사에 특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담보 능력도 양호한 삼부토건은 결국 헌인마을 개발사업 때문에 법정관리라는 벼랑으로 몰렸다. 삼부토건은 9065억원에 달하는 PF에 대해 지급보증을 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건설사들의 부동산 PF대출 규모는 67조원에 이르고 2월 말 기준 PF 연체율은 6.67%다. 특히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건설업계의 PF대출 규모는 15조원대로 추산되고 있다.

문제는 만기가 연장되더라도 막대한 이자 부담 때문에 자금난에서 헤어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금융권이 만기 연장 조건으로 추가 담보 또는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여기에 신용등급이 나쁜 건설사가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경우 금리는 이미 15%대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경남기업 (113원 ▼91 -44.6%)(시공능력평가순위 17위), 벽산건설 (0원 %)(23위), 풍림산업 (0원 %)(24위), 신동아건설(30위), 남양건설(33위), 남광토건 (6,130원 ▼60 -0.97%)(37위), 한일건설 (0원 %)(42위), 진흥기업 (967원 ▲1 +0.10%)(43위), 금광기업(46위), LIG건설(47위), 동일토건(49위), 대우자동차판매 (0원 %)(52위), 우림건설(54위), 현진(57위), 중앙건설 (0원 %)(59위), 신성건설(65위), 이수건설(66위), 동문건설(67위), 월드건설(71위), 성원건설(75위), 대주건설(85위, D등급 판정후 부도), 성우종합건설(87위), 한솔건설(100위) 등이 비슷한 경험을 겪었다.

10위권인 금호산업까지 포함하면 100대 건설사 중 25개사에 달한다. 건설업계 허리가 끊긴다는 푸념이 나오는 이유다.
PF대출 늪에 빠진 '중견건설'…"허리 끊어진다"


◇입찰제도의 구조적 문제도 붕괴 부추겨
중견건설업계의 붕괴가 PF 대출 악순환과 함께 입찰제도의 후진성도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공공공사에 강점이 있는 삼부토건, 남양건설, 금광기업, 풍림산업, 신동아건설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무리하게 벌인 주택사업이 경영난의 원인이기는 하지만 최저가낙찰제 확대에 따른 수익 악화도 주요 요인이라는 것이다.

공사비를 가장 낮게 써낸 건설사가 공공공사를 수주하는 최저가낙찰제가 2005년 500억원 이상에서 3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저가경쟁이 심화돼 수익이 악화됐다는 것이다.

한 중견건설사 대표는 "2006~2007년 발주된 토목공사의 완공을 앞두고 정산을 해보면 대부분 마이너스"라며 "공공공사에서 수익을 내 이자는 갚기는커녕 대출을 받아 연명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내년부터 최저가낙찰제 공사가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어서 건설업계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2009년 120조원이던 국내 수주가 지난해 103조원, 올해 100조원 미만으로 떨어지는 등 건설공사 물량 감소가 심화되고 있어 최저가낙찰제가 확대되면 저가경쟁은 더 심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단기적으로 정부가 나서서 PF대출에 대해 살릴 것과 퇴출할 것을 명확히 구분해 지원해주고 입찰제도를 전면 손질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