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통운 매각 때마다 불거지는 '리비아 리스크'

머니투데이 김태은 기자 2011.03.04 06:21
글자크기

대한통운 "문제없다" 해명에도 '매각 가치 논란' 빌미로 거론

내전 양상을 띠고 있는 리비아 사태가 매각을 앞둔 대한통운의 발목을 잡을까. 현지 대수로 공사에 차질이 빚어지는 경우 이 공사를 맡고 있는 대한통운의 '몸값'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한통운 (113,000원 ▼1,600 -1.40%) 매각절차가 진전되면서 리비아 정부가 대수로 1·2단계 사업의 최종완공증명서(FAC) 발급을 미룬 게 가격산정의 변수로 거론되고 있다.



대한통운 관계자는 "1, 2단계 공사가 이미 완료된 상황이고 공사 대금도 모두 처리된 상황이어서 리비아 대수로 공사에서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적다"고 말했다.
대한통운 매각 때마다 불거지는 '리비아 리스크'


사실 대한통운에 'FAC 리스크'는 새로운 게 아니다. 지난 2007년 매각을 추진할 때도 논란이 됐는데 당시 법원이 리비아 정부의 FAC 없이도 매각이 가능하다고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금호에 팔렸다.

FAC 문제는 지난 2009년 대한통운에서 금호렌터카를 물적분할해 매각할 때에도 쟁점이 됐다. 대수로 공사와 관련한 우발채무의 연대변제 책임이 불거진 것이다. 이로 인해 당시 입찰에 참여했던 상당수 후보가 본입찰에 불참하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 법무법인의 M&A 전문 변호사는 "금호렌터카 매각 당시 이 문제가 제기됐으나 회사이 제대로 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확인이 어려웠다"며 "이번 대한통운 매각가격 산정 등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대한통운 측은 여전히 담당한 표정을 짓는다. 무엇보다 FAC에 관계없이 예비완공증명서(PAC) 발급으로 우발채무가 이미 사라졌다는 입장이다.

리비아정부는 애초 대수로 1·2단계 공사를 수주한 동아건설이 파산하면서 공사 완공이 늦어지자 13억 달러의 지연배상금을 요구했었다. 대한통운은 잠정 배상금 요청액을 2억6700만달러(3500억원)로 낮추도록 해 공사를 넘겨받아 2005년 12월 PAC 발급에 이어 2007년 5월 하자보수까지 끝냈다고 설명했다.이 공사와 관련한 우발채무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와 별도로 최근 리비아 사태가 3~5차 공사 등에 영향을 미쳐 대한통운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대한통운이 1983년 당시 모기기업인 동아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리비아 대수로 공사에 참여했는데, 1·2차는 물론 카다피의 지원에 힘입어 3∼5차, 6∼19차 등 후속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았다는 이유에서다. 카다피 정권이 무너지는 경우 대한통운이 예정된 공사를 계속 진행할 지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장장 30년에 걸쳐 이뤄지는 대수로 공사를 동아건설이 확보한 것은 전적으로 최원석 전 회장이 카다피와 돈독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덕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한통운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대한통운 관계자는 "3·4차 공사의 경우 대한통운이 지분 25%로 참여한 현지의 ANC가 수주했고 3차는 터키와 캐나다 업체가 공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통운 매각 주관사인 산업은행과 노무라증권은 지난주 10여개 기업에 입찰의향서(LOI)를 보냈고 오는 4일 오후 5시까지 접수를 마감한다. 이후 상세 매각 정보가 담긴 투자안내서(IM)를 보내고 5일 예비입찰을 진행하게 된다. 현재 포스코와 롯데, 신세계, CJ 등이 유력한 인수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