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리비아 인근 군배치 '압박 강화'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2011.03.01 09:14
글자크기

반정부 세력 80% 장악…카다피는 퇴진 거부

미국이 리비아 인근에 군을 배치하는 등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나섰다.

미국 정부는 난민구호 지원을 명분으로 제시했지만 유사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열어 둔 조치로 풀이된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인권위원회에 참석 중인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난민 지원을 위해 리비아 국경지대에 긴급구호팀을 파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 국방부가 리비아 인근에 해군과 공군을 이동 배치하고 있다고 밝힌데 대해서는 군사적 대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인도주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무고한 국민을 공격하고 있는 카다피는 폭력 행위를 중단하고 지체없이 물러나야 한다"며 "앞으로 국제사회가 취할 조치로 모든 사항이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과 유럽이 리비아 상공을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하나의 옵션으로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해 이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클린턴 장관의 이같은 발언들은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카다피의 퇴진을 요구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미국 정부가 카다피 정권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정리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아울러 이날 미 재무부는 300억 달러에 이르는 카다피와 리비아 정부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자산동결 조치 중 역대 최대 규모이며 재무부는 추가동결 가능성도 언급하며 카타피의 퇴진을 압박했다.


또 유럽연합(EU)도 이날 카다피와 그의 일가 및 측근에 대한 자산동결과 리비아 정부로의 무기 수출, 여행 금지 등을 담은 제제안을 승인했다.

한편 반정부 세력이 리비아 전역의 80% 이상을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카다피는 미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퇴진 거부 의사를 밝혔다. 그는 자신이 대통령이나 왕이 아니기 때문에 사임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