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부, C&그룹 왜 지금 수사 시작했나

머니투데이 김성현 기자 2010.10.23 11:23
글자크기

'스폰서 검사 특검', 국정감사 고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김홍일)가 C&그룹에 대한 수사 착수 시기를 이달로 정한 까닭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장기간 내사를 벌여 상당량의 각종 자료와 증거를 확보해놓고도 지금에서야 본격 수사에 나선 배경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대검 중수부가 당초 수사 개시 시기를 지금보다 훨씬 이른 시점으로 잡았지만 그동안 외부 여건이 맞아 않아 미뤄왔다는 분석이 유력한 상황이다.



복수의 검찰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검이 지난 6월 전국 13개 검찰청에 주식 상장폐지업체 30여개사에 대한 수사를 지시했을 때 중수부는 이미 C&그룹의 각종 비리 첩보를 입수한 상태였다. 이때 중수부는 다른 사건과 달리 C&그룹에 대해서 만큼은 직접 수사를 맡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이 같은 판단에는 비자금의 규모가 크고 전방위 정관계 로비 의혹이 연계돼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이에 따라 대검 중수부는 수사 착수 시기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1주년이 지난 시점이자 김준규 검찰총장의 취임 1주년인 지난 8월로 정하고 각종 범죄 정보를 수집해왔다. 하지만 갑자기 스폰서 검사 의혹이라는 암초를 만나 수사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게 검찰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특히 '스폰서 검사 특검팀'의 활동 시기와 맞물려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검찰 관계자는 "대검 중수부가 그 때 수사를 시작했다면 특검에 대한 '맞불 작전'이나 '물 타기'를 하는 게 아니냐는 국민적 의심과 비난에 직면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중수부는 특검팀 활동이 끝난 지난 9월 말까지 수사를 미룰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곧바로 수사에 착수할 경우 10월 국정감사 때 불필요한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고 대검 국정감사가 끝난 직후인 지난 21일 전격 수사에 돌입했다는 게 검찰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수사 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진 것이 '실'보다는 '득'이 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중수부가 지난 4~5개월에 걸쳐 수집한 각종 증거와 자료로 구체적인 혐의 입증에 충분한 밑거름을 얻었고, 이는 압수수색 이후 초고속 수사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특히 중수부는 그동안 C&그룹의 2006년도~2009년도 회계서류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이미 마치고 비자금 규모도 거의 확정한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중수부가 충분한 내사 단계를 거친 만큼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내용이 생각보다 복잡한 부분도 많다"며 "수사 경과를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