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조, 대한전선·신동환씨 등 수익 해법 찾아야

더벨 현상경 기자 2010.09.29 07:04
글자크기

[대선주조 매각가격 논란②]저가매각시 펀드 투자자 직접 피해

더벨|이 기사는 09월27일(18:29)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대선주조가 새 주인을 만나면 현재 주인인 시원네트워크는 외환은행 등과 신준호 회장에게서 빌린 돈부터 우선 해결해야 한다. 주식담보까지 잡힌 '부채'다보니 원칙적으로 갚아야 할 돈이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재매각 이후 부채를 그대로 상환하기보다 새 주인이 채무를 '승계'하는 방법이 유력하다. 이 과정에서 이자율 등 약정내용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아직 부채 만기가 3년~5년 이상 남아있지만 기존 채무자의 원리금 지급내역과 여력이 문제가 될 소지도 없지 않다.

대선주조의 매각가 논란은 채무해결 보다는 지분투자자들에게 얼마의 수익을 주느냐, 혹은 손실을 입히게 놔두느냐 여부에서 비롯된다.



시원네트워크의 주주인 '코너스톤제1호PEF'에는 한국투자증권이 516억원을 투자했다. 이 자금 가운데 대선주조에 투입된 돈은 158억원 가량이다.

가장 많은 돈을 댄 830억원짜리 '씨이피제1호PEF'에는 대한전선(185억원), 베리아이비홀딩스(46억원), 경안레저산업(185억원) 등이 자금을 댔다.

150억원짜리 '대선PEF'에는 신준호 회장의 차남인 신동환씨 등이 대부분의 투자를 단행했다. 이들은 모두 대선주조 재매각 이후 원금과 수익을 받아야 할 주체들이다.


이들 가운데 칼자루를 쥐고 있는 곳은 대선주조 지분 투자비중이 가장 높은 대한전선과 그 관계사들이다. 중요한 점은 대한전선 (13,760원 ▼450 -3.17%)이 은행권과 재무구조개선약정(MOU)를 체결한 이후 유동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한전선은 최대한 많은 현금을 확보해 올해 안에 재무개선약정에서 졸업하길 원하고 있다.

상황이 급박하다고 해서 대선주조가 원금 혹은 원금 이하로 매각될 경우 대한전선 등 지분투자자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된다. 은행채무야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보니 위험(Risk)을 감내한 지분투자자들이 예금금리보다 못한 수익을 얻거나 원금손실까지도 보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운용사인 코너스톤도 자신들의 1호 펀드부터 손실을 보게 돼 치명적인 트랙레코드를 남기게 된다. 이런 위험을 감내해가며 당장에 대선주조를 저가에 팔기에는 명분이 부족하다.

대선주조 딜은 "코너스톤이 살 때부터 비싸게 샀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러다보니 대선주조 M&A가 중반을 넘어서면서 딜 성사를 위해 '저가 매각' 카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빚을 안 갚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우선배당 등의 형태로 투자자에게 손실을 입힐수도 없는 노릇이다보니 '저가 매각' 주장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M&A 업계에서 대선주조 매각을 바라보는 시각은 부적절한 타이밍이다. 코너스톤이 대선주조를 인수한지 불과 2년반만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5년~7년까지 투자기한을 잡는 PEF의 딜 구조 특성상을 감안할 때 펀드 운영기간이 이례적으로 짧은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손실을 봐가며 M&A를 진행할 필요가 있느냐는 시각도 있다.

대한전선 차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