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위기극복 '비상경영' 돌입(상보)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0.08.16 15:33
글자크기

내달말 재무구조개선 종합대책 확정, 이지송사장 위기극복 능력 '시험대'

↑LH 이지송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1000여명은 16일 오전 11시 경기 분당 정자동 본사 대강당에서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한 비상경영 선포 및 노사 공동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지송 LH 사장(사진 가운데)과 정종화(사진 왼쪽), 박해철(사진 오른쪽) 양 노조위원장이 LH 임직원 앞에서 결의를 다지고 있다.↑LH 이지송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 1000여명은 16일 오전 11시 경기 분당 정자동 본사 대강당에서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한 비상경영 선포 및 노사 공동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지송 LH 사장(사진 가운데)과 정종화(사진 왼쪽), 박해철(사진 오른쪽) 양 노조위원장이 LH 임직원 앞에서 결의를 다지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18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줄이기 위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앞으로 LH 전 임직원은 '1인 1판매운동'을 통해 토지·주택 세일즈맨으로 나서는가 하면 경비와 원가는 줄이고 국민 신뢰를 높이는 '3컷(Cut) 3업(Up) 운동'을 본격적으로 벌이기로 했다.

특히 재무개선 100대 과제 중 자구대책 60여개 과제에 대해서는 이번 주 최종 확정해 시행에 들어가고 9월 말까지 부채 해소를 위한 종합대책을 확정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을 위기에서 구해낸 이지송 사장의 위기극복 능력이 LH라는 '거대 공기업'에서도 통할 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위기상황엔 비상 경영·조직으로
지난 2003년 그룹 공중분해로 좌초위기에 빠진 현대건설의 사장에 취임한 이지송 사장은 형제 및 자식과 같은 임직원들을 내보내고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하는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사장의 결단력은 국내 1위 '건설명가'라는 현대건설 임직원들의 자존심, 기술력 등과 시너지를 일으켜 현대건설을 결국 정상화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해 LH의 구원투수로 나선 이지송 사장은 또다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118조원에 달하는 빚더미를 해소하고 국책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LH를 정상화하기 위해 비상경영에 돌입한 것이다.



특히 부동산시장의 장기 침체로 더욱 악화된 경영환경을 정면 돌파하기 위해서는 옛 제도·규정·조직 틀로는 대처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지송 사장은 이날 "구태의 제도·규정·조직 틀로는 대처하기 어려운 경영위기들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민간 비상경영 기법을 접목시켜 반드시 위기의 LH를 구해내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정부지원·사업 재조정 핵심
이날 이 사장과 LH 임직원들은 1인 1주택·토지 판매운동, 경상경비 및 원가 10% 절감 등 내부개혁과 △미매각 자산 판매 총력 △합리적인 사업 조정 △철저한 유동성 리스크 관리 △조직혁신 등 경영쇄신을 단행키로 결의했다.

이지송 사장은 '비상경영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이 돼 직접 위기극복과 내부개혁을 진두지휘하게 된다. LH는 비상경영의 첫 번째 실천 과제로 지역본부의 판매와 보상역량을 최대한 강화하기 위해 본사 인력감축 및 교육파견 조기 복귀자 등 약 300여명으로 구성된 '보상판매 비상대책 인력 풀'을 구성해 현장으로 배치할 계획이다. 이는 연초 본사 인력의 30%에 해당하는 500여명을 지역에 보낸데 이어 두 번째 대규모 현장배치 인사다.


LH는 또 재무개선 100대 과제를 최종 보완·선정 중에 있으며 이 가운데 자구대책 부문의 60여개 과제에 대해서는 이번 주 중 최종 확정해 우선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재무개선특별위원회를 통해 부채문제 해소를 위한 종합대책을 9월 말까지 매듭짓기로 했다.

LH는 임대주택·토지 등에 선 투자된 부채에 대해서는 판매촉진과 정부지원을 통해 점진적으로 감축하고 향후 발생하는 부채는 사업조정과 수익성 개선으로 최대한 억제하면 경영정상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사장은 사업 재조정과 관련 "주민들의 피해와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지구별로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시간을 두고 충분히 검토하면서 합리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LH의 전국 사업장은 △택지·신도시·국민임대지구 248곳 △도시재생 69곳 △세종시·혁신도시·산업물류지구 49곳 △보금자리주택지구 43곳 △기타 7곳 등 모두 414곳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