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이 늦어지는데…

머니투데이 박재범 기자 2010.06.30 13:48
글자크기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발표가 미뤄졌다. 당초 6월말이었던 약속 시한은 지켜지지 못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결과적으로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해 죄송하다"고 했다. 향후 발표 시점도 명시하지 못했다. "7월 중순 이후"라고만 했다. 시한을 못 박는데 대한 부담이 적잖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진 위원장 말마따나 6월이건 7월이건 시점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묘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진 위원장은 먼저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많은 논의를 했다고 소개했다. 그 흐름을 볼 때 6월말 발표가 가능했다는 얘기다. 정부 관계자는 "마이크로한(세부적) 논의는 대략 마무리됐다"고 전했다.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이 늦어지는데…


그런데 발표가 늦춰졌다. 진 위원장은 그 이유로 매크로(거시) 상황 점검을 들었다. 남유럽 재정위기를 포함한 유럽 사태, G20 논의 사항 등을 예로 꼽았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등 금융시장 불안요인도 이유다.



중요한 점검 포인트이긴 하지만 근래 들어 갑작스레 불거진 사안은 아니다. 발표 연기 설명에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진 위원장은 "일각에서 (이 부분을) 한 번 더 짚어보자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관계기관 간 협의도 필요했다"고도 했다. 여기서 '일각'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안팎, 금융위원회 안팎 등 범위가 넓다. 종합하면 대략의 방안이 정리되는 시점에 정부 안팎에서 '회의론'이 제기됐고 거시 상황이 그 근거로 사용됐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물론 금융위는 손사래를 친다. 진 위원장도 "올해까지는 가닥을 잡아야 한다" "7월 중순 이후 조속히 마무리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시간이 많이 드는 실무 절차는 미리 할 게 없는지 준비하라고 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우리금융 조기 민영화 의지는 여전하다는 선언인 셈이다.


그럼에도 시장에선 이미 온갖 '설'이 난무하고 있는 실정. 당장 '속도조절론'이나 '특정 금융회사 낙점설'에다 정권 후반기 역학 구조까지 거론된다. 정부로선 두 차례에 걸쳐 16%의 지분을 블록세일한 만큼 무리할 필요성을 못 느낄 것이란 얘기도 있다.

진 위원장이 누차 조기 민영화 의지를 밝히는 것 자체가 정부 안팎에 반대 목소리가 많다는 방증이란 지적도 나온다.



이 때문인지 진 위원장도 넋두리 같은 언급을 했다. "이런 저런 억측이 있는데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 문제가 있다면 과거 블록세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그걸 못했고…. 외환위기 이후 그림을 그렸지만 그렇게 된 게 없다. 2007년 (우리금융의) 주가가 높을 때 왜 팔지 못했을까라는 생각도 해 본다". 민영화 절차를 밟는 게 쉽지 않다는 토로로 들리는 대목이다.

우리금융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