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7월부터 中企 5만개 공동신용평가 착수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10.06.14 13:21
글자크기

신용공여 500억미만 공동평가기준 마련...C등급 '공동관리' D등급 '회생절차'

은행권이 다음 달부터 여신규모 5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에 대한 공동 신용위험평가에 착수한다. 채권은행들이 선제적으로 부실 중소기업을 솎아내려는 것으로, 평가 결과에 따라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은행권에선 평가 대상기업이 약 5만여 곳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14일 중기 신용위험상시평가를 위한 은행권 공동 기준을 최종 확정하고 오는 7월부터 신용위험평가에 착수,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준은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인 법인이나 개인사업자 중 개별은행 신용공여 30억원 이상인 기업에 적용된다.



그동안 중소기업 신용평가엔 일관된 기준이 없었다. 작년 중기 구조조정도 금융감독원이 제시한 대기업 평가 기준을 활용한 것이어서 중기 신용평가엔 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연합회는 채권은행들과 중기 신용평가 기준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공동 신용평가 기준을 마련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매년 5월 말 채권액 기준으로 해당 은행 채권액 50억원 이상인 기업은 매년 7월 말까지 한차례 정기평가를 받게 된다. 매분기 말 해당 은행에 대한 채권액이 30억원 이상인 기업에 대해선 분기별(5, 8, 11, 2월말까지)로 수시평가가 이뤄진다. 연합회 관계자는 "기본 평가 후 신용위험도가 높은 기업을 세부평가 대상기업으로 선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채권은행들은 정기평가 대상기업의 경우 오는 10월 말까지 세부평가를 완료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시평가 기업은 기본평가 후 2개월 이내(7, 10, 1, 4월말까지)에 세부평가를 마무리한다는 복안이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평가 대상기업을 외감기업과 비외감기업, 개인사업자로 구분해 산업 및 영업 위험, 경영·재무위험 및 현금흐름 등을 평가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평가결과는 모두 4개 등급으로 구분돼 사후 관리된다. A등급(정상영업이 가능한 기업)과 B등급(부실징후기업이 될 가능성이 큰 기업)은 필요에 따라 개별 채권은행이 자체 조치하지만 C등급(부실징후기업이지만 경영정상화 가능성 있는 기업)은 채권은행 협약에 따라 채권단 공동관리 등이 진행된다. 부실징후기업이면서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가 불가피하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