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더블딥 우려 현실화 되나

머니투데이 송선옥 김성휘 기자 2010.06.06 17:09
글자크기

[헝가리 쇼크]유럽 재정적자 확대→재정긴축→금융시장 붕괴→더블딥 우려

-헝가리 디폴트 가능성 언급으로 가중
-리보 상승·부실채권 등, 금융시장 붕괴 가중
-유로화 4년래 최저, 유로 소멸론까지 제기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시장하락과 이에 따른 공포감이 더블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로버트 실러 미 예일대 경제학 교수는 지난달 20일 뉴욕타임스 기고문에서 유로화 경제권 유로존의 더블딥 가능성을 우려했다.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도 “유럽 위기에 대한 공포 확산으로 향후 수개월간 글로벌 주식시장이 추가적으로 20% 급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의 반란으로 치부했던 그리스 재정적자가 유럽 재정적자의 확대→재정긴축→금융시장 붕괴→더블딥을 촉발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지난 4일(현지시간) 헝가리 총리의 대변인의 디폴트 가능성 언급은 시장의 우려를 더욱 가중시켰다. 헝가리 증시는 말할 것도 없고 유럽 증시에 이어 뉴욕 증시 다우지수는 1만선 붕괴로 화답했다. '어쩔 수 없는 유럽'이라는 우려가 시장을 짓눌렀다.

스페인 경제는 지난 4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 0.1%를 기록하며 사상처음으로 마이너스 인플레이션을 맛봤다. 이와 함께 1분기 실업률은 20.05%로 유로존 내에서 가장 높다. 디플레이션 공포가 제기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유로존, 부메랑된 통합=유로존 위기의 근원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포퓰리즘 정치에 기인한 재정적자다. 경제를 손보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유럽중앙은행(ECB)과 개별 회원국이 각각 담당하는 기묘한 유로존 통합도 사태 대응의 적기를 놓치게 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07~2009년 PIIGS의 재정적자는 3.9~6.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국 평균 1.6%를 상회한다.

현재 돈에 쪼들린 불량국가들이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선택한 채권발행 또한 유럽은행 최대의 리스크로 부각하고 있다. ECB는 2011년까지 발생할 유로존 은행권의 추가 자산상각 규모를 1950억유로로 전망했다. 제2의 채권대란이 우려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유로존이 이렇게 불안하자 영국 런던은행간 금리인 리보(LIBOR) 3개월물은 지난 3일 0.5365를 기록하며 10개월래 고공행진 중이다. 리보 급등은 단순히 금리인상에 그치지 않는다. 은행간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가계, 기업 대출금리가 높아질 수 밖에 없고 이는 금융권 전체 나아가 실물경제로까지 영향을 미친다.

◇유로화의 운명은=시장의 관심은 유로화다. 유로화의 미래는 유로존의 미래를 말하기 때문이다. 유로화는 4년래 최저인 1.19달러대까지 내려왔다.

유로화의 운명에 대한 시나리오는 크게 세가지 방향으로 수렴된다. 유로 소멸 대신 상당기간 악화될 것이라는 신중론이다.

하지만 유로의 소멸이나 일부 국가가 유로존에서 쫓겨날 것이라는 비관론도 적지 않다. 재정위기의 금융불안 확산으로 시장이 망가지고 그리스 등은 유로존에서 쫓겨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 핌코의 빌 그로스 회장은 그리스가 1~2년 안에 채무 재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로와 EU의 미래를 낙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5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독일 뿐 아니라 여러 나라들에게 적자를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라며 "우리는 높은 적자 속에 성장을 달성할 수 없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공동의 목표를 촉구하며 긴축정책이 유로존을 더욱 흔들 것이라는 우려에 쐐기를 박은 셈이다.

유로화 약세를 발판으로 수출 경쟁력 향상과 임금이 인상되면 소비시장이 확대돼 유로존 경제가 활기를 띨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독일의 역할에 기대감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유로존의 소멸에 대한 투표를 실시했다. 유로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62%를 기록, 지난달 25일 투표 시작 때 57%보다 증가했다. 반면 유로 소멸론은 처음보다 줄어들었다. 무엇보다 단일통화체제의 장점이 적지 않기 때문에 회원국들이 이를 버리지 못한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