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콘텐츠·미디어·3D 고용 8만명 창출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2010.04.08 12:00
글자크기

5대 서비스분야 선정 순차전략 마련…콘텐츠·미디어 육성방안 확정

정부가 2014년까지 콘텐츠·미디어·3D 산업분야를 중점 육성해 8만명의 고용을 창출한다.

정부는 8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제4차 고용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유망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향' 및 '콘텐츠·미디어·3D 산업분야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월 1차 국가고용전략회의 후속조치로 열렸다. 향후 고용창출 여지가 많은 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첫 출발점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서비스 산업은 지난해 고용 비중이 68.5%에 달하는 등 한국 경제의 대부분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업 고용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23위(2007년 기준)에 그치는 등 선진국과 비교할 경우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보건·사회복지, 사업서비스 등 고용 창출이 유망한 분야는 여전히 높은 규제로 고용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고용비중이 낮은 업종 중에서 고용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이 높은 △ 콘텐츠·미디어 △ 사회서비스 △ 관광·레저 △ 교육·연구개발(R&D) △ 의료·보건 등 5대 유망 서비스 분야를 선정하고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 방향은 크게 신규시장 창출지원, 불합리한 규제개선, 인프라확충, 전문인력 양성 등 4가지다. 이를 토대로 콘텐츠·미디어 분야를 시작으로 5대 유망서비스 분야별 일자리 창출 방안을 순차적으로 오는 6월까지 확정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디지털세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미디어, 3D 등 3대 유망 서비스 산업분야 육성 전략이 중점 논의됐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대기업 중소콘텐츠업체 정부가 참여하는 콘텐츠생태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민관 공동으로 향후 3년간 5000억원을 투입한다. 2000억원 규모 글로벌 펀드도 조성하고 1인 창조기업도 3만7000개에서 5만개로 늘린다.

미디어 분야는 모바일 금융결제 및 요금제도 개선 등을 통한 무선 인터넷 이용 활성화, 무선랜·와이브로 가능지역 확대 및 미디어 콘텐츠기업간 불공정거래환경 개선 등을 통해 제2의 인터넷붐을 조성한다.



3D 산업 분야에서는 오는 10월부터 지상파 3D 실험방송이 추진되며, 연간 6000명의 3D 인력이 양성된다. 1000억원 규모의 3D전문펀드가 조성되고, 연구개발(R&D)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도 마련된다. 이를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약 8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콘텐츠 미디어 3D 3대 산업분야에서 2014년까지 약 8만명의 고용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