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⑤]민영화 답, 쉽지 않다

유일한 MTN기자 2010.04.05 13:30
글자크기
< 앵커멘트 >
정부는 올 상반기 중에 우리금융 (11,900원 0.0%)지주 민영화 방안을 마련해 연내에 예금보험공사가 가진 지분을 팔아 민영화를 완료한다는 방침입니다. 현실적인 민영화 방안으로는 합병이 유력하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두고 해답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유일한 기자가 전합니다.





< 리포트 >
우리금융지주는 시가총액이 14조원. 절반만 해도 7조원에 이릅니다. 규모가 크다 보니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방안으로 대등 합병이 가장 유력해 보입니다. 금융당국 역시 긍정적입니다.

신학용 민주당 의원 (2월24일 리포트중)
"현 상황에서 가능한 방법이 대등 합병이 아닌가 하는데 거기에 동의하시죠?



진동수 금융위원장
"민영화라는 공감하는 목표를 위해서 가능한 한 모든 대안을 놓고 검토를 해야하고 그런 대안에는 그런(대등합병) 방식도 포함된다는 그런 정도의 수준이다"

합병은 둘 사이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은행을 대형화해 경쟁력을 키운다는 점에서 지지를 얻고 있습니다. 우리금융을 매각할 경우 막대한 인수 자금을 부담할 투자자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인터뷰]한정태 하나대투증권 이사
"현실적으로 우리금융을 사줄 금융기관, 투자가는 없다. 매각은 합병밖에 없다. 은행은 성장성이 없어 더좋은 가격을 받으려면 합병이 현실적인 대안이다"


합병 대상으로는 오래전부터 KB금융과 하나금융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대형화 측면에선 KB금융이 높은 점수를 받지만 은행의 특성을 고려한 시너지는 하나가 더 크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녹취]증권업계 관계자(음성변조)
"KB와 우리는 소호가 많이 겹쳐, 점포도 겹쳐 효과가 없다. 하나와는 많이 겹치지 않고 포트폴리오를 안정감있게 가져갈 수 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대형 금융회사의 시장점유율을 제한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은행의 대형화가 바람직한지 논란이 있습니다. 대형은행에 대한 시장 의존도가 높아지면 경쟁이 줄어 고객 혜택이 주는 것은 물론 위기시 리스크도 커지게 됩니다.

[녹취]금융계 관계자(음성변조)
" 민영화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정부가 시장시스템 리스크를 가지는 합병문제를 자체 목적을 강조하는 게 아니라 재정을 확보한다는 별개의 목적을 앞세운다."

조속한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 등 우리금융 지분 매각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지정한 법 조항도 민영화의 걸림돌로 지적됩니다.

가급적 이른 시간에 지분 50%를 프리미엄까지 얹어 파는 동시에 심지어 지방은행 활성화,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형화까지 두루 고려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들로 우리금융 민영화가 쉽지 않을 것이란 비관론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올해가 넘어가면 민영화가 사실상 어려워질 수 있다는 판단에 올 2분기 내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유일한입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