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700억불 시대'…지속가능이 관건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0.01.15 11:02
글자크기
정부가 2012년까지 매년 700억달러의 해외건설을 수주해 세계 해외건설 10대 강국으로 진입한다는 원대한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말 UAE 원전 수주를 확정지은 데다 브라질 고속철도(24조원)와 리비아 메트로사업(5조원), 요르단·터키 원전 등 초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올인하고 있어 올해 700억달러 수주 돌파도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전체적인 해외건설 시스템과 기업들의 몸집이 700억달러에 맞춰진 이후 이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이 최대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활성화대책 왜 나왔나=정부가 해외건설 활성화대책을 내놓은 것은 해외건설 수주가 중동과 플랜트에 편중돼있는데다 원천기술이 취약해 경쟁력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 출발한다.

실제 지난해 기준 중동과 플랜트 수주비중은 73%, 73%에 달한다. 중동시장에서 수주활동이 집중됨에 따라 국내 기업간 수주 경쟁이 격화돼 수익률이 감소하고 유가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상존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사우디 카란가스 프로젝트의 경우 최초 입찰가 18억달러보다 30% 낮아진 13억달러에 수주하기도 했다.



또 기본공정설계(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 등 기초설계 원천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취약해 수주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있다.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 선진국대비 건설기술 수준은 기획 75%, 설계 77%, 시공 81%에 불과하다.

전 세계적으로 발주패턴이 다양해지고 투자개발형 사업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금융조달 능력과 개발 노하우가 부족한 것도 한계다. 자원부국은 '자원개발+인프라 투자'를 연계 발주하고 있지만 초기에 대규모 자본이 소요되는 반면 투자회수기간이 길어 금융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해외건설 수주확대 비책은=정부가 세계 건설시장 10위권 진입을 위해 내놓은 대책의 핵심은 신시장·신상품 개발이다.


대표적인 신상품은 투자개발형 사업이 꼽히고 있다. 투자개발형 사업이란 시공사(시행자)가 자금을 조달해 SOC 등 시설물의 운영 또는 주택·산업단지 분양을 통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사업방식이다. 국내 신도시 건설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상품으로 꼽은 것이다.

KTX의 성공적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수주에 올인하고 있는 브라질 고속철도(24조원 규모, 6월 시공사 결정)와 리비아 메트로사업(5조원 규모, 3월 시공사 결정) 등 해외 철도건설 사업도 핵심상품이다. UAE 원전 수주를 계기로 세계 원전건설시장의 주목을 한번에 받으면서 요르단과 터키 등의 원전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

중동·아프리카 국가와 선제적·포괄적 패키지(Package) 사업도 주목받고 있다. 경제·사회개발계획 수립 때 발전모델로 한국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아 정부간 협의채널을 통해 협력수요를 발굴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해외 경제·사회개발계획은 아부다비 플랜 2030(Abu Dhabi plan 2030), 아부다비 전략 2015(Abu Dhabi Strategic 2015), 오만경제 비전(Vision for Oman's Economy), 카타르 국가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 사우디아라비아 5대 경제도시 건설 등이 꼽히고 있다.

◇지속가능성이 관건=정부 계획대로 2012년까지 700억달러에 달하는 해외건설 수주가 지속된다면 세계 10위권 진출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전체적인 해외건설 시스템과 건설사들의 외형이 700억달러에 맞춰진 이후 이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이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상품으로 지목된 사업들에 대한 경쟁력 확보도 문제다. 정부가 핵심상품으로 제시한 투자개발형사업의 경우 이미 실패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중반 건설사들은 앞다퉈 아시아시장과 개발도상국, 자원부국 등을 대상으로 투자개발형 사업을 확대했지만 대부분 실패했거나 자금 확보 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UAE 원전 수주 이후 원전, 고속철도, 지하철 프로젝트 등에 대한 세계 각국의 견제가 노골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주를 장담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한 전문가는 "자원개발+SOC건설 패키지 사업도 미국, 일본, 중국 등이 선점하고 있어 시장 확대가 쉽지 않다"며 "해외건설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늘리고 기술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