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인도 CEPA 타결, 철강 기대-화학 섬유 우려

산업부 기자 2009.08.06 12:35
글자크기

국내 산업계 희비..전자 자동차 등은 영향 제한적

오는 7일 한국과 인도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세파) 체결을 앞두고, 협상결과에 대한 국내 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냉연 및 열연 강판 등을 수출하는 포스코 (375,000원 ▼500 -0.13%) 등 철강업계는 CEPA 타결을 반기는 반면, 섬유수입 증가가 예상되는 섬유업계나 관세철폐가 아닌 인하품목에 속한 자동차 부품과 관련해 자동차 업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또 석유화학 업종도 CEPA 타결에 대한 큰 수혜를 기대를 하지 않는 모습이다.



전자업종은 이미 상당수의 기업이 인도에 진출해 있어 관세 철폐의 영향이 적어 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이라는 입장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등 철강과 기계류 관련 업계는 이번 CEPA 타결로 8년 내에 냉연 및 열연강판의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됨에 따라 대인도 수출길 확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인도의 연간 철강재 수입량(400만톤) 17.5%인 70만톤 정도를 담당하는 국내 업체들은 현재 5% 또는 7.5%의 관세가 철폐되면 급성정하고 있는 인도 내 철강 시장으로의 수출물량이 대폭 늘어날 것을 기대하면 이번 CEPA 타결을 반기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석은 인도로부터 수입하고, 철강을 수출하는 상황에서 관세가 철폐되면 철강산업 전반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자업계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다며 장기적인 시장 성장성에 무게를 CEPA 타결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삼성전자 (63,000원 ▼100 -0.16%), LG전자 (110,100원 ▲600 +0.55%) 등 전자 대표 기업들은 대부분 인도 현지 공장에서 직접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TV 등 완제품 수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또 WTO의 정보기술협약(ITA)에 따라 무관세품목에 포함돼 있는 반도체나 휴대폰 등은 이번 협정에 따른 영향이 없다.

삼성전자는 이미 인도 노이다(휴대폰, TV, 생활가전)와 첸나이(TV) 지역에 공장을 두고 있고, LG전자 인도법인도 뉴델리와 푸네에 각각 생산공장을 두고 휴대폰, 디스플레이, 생활가전 등 전 품목이 생산하고 있어 이미 관세의 영향이 없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협정 체결이 전반적인 양국간 비지니스 활성화로 이어지면 간접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자부품의 경우 한국에서 조달하는 경우가 있어 수혜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부품에 대한 관세인하가 진행될 경우 현지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의 경쟁력이 보다 강화돼 인도가전 1위의 입지를 더욱 굳히는 데 긍정적 영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자동차 업계의 경우 현대자동차 (250,500원 ▲4,500 +1.83%)는 부품의 90%를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어 영향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다만 이번 CEPA 타결에서 '8년 내에 1~5%로 인하'하는 품목에 디젤엔진, 기타 자동차용 부품 등이 포함돼 당초 즉시 철폐를 기대했던 국내 자동차 업계에 다소 실망감을 안겨줬다는 평가다.

현재 평균 12.5%인 부품관세가 5~8년에 걸쳐 사라지기를 기대했던 현대차는 부품 관세의 철폐시기가 미뤄지는데다 인도차의 국내 진출 가능성으로 인해 당장 크게 기대할 것은 없다는 분위기다.

오히려 태국과 FTA를 체결한 일본 자동차 업계가 인도-태국간 FTA의 연결고리를 활용해 인도에 무관세로 부품을 들여오는 상황이어서 이번 CEPA에서의 관세인하 품목에 해당한 한국 자동차 업계에게는 불리한 상황이 됐다는 평가다.



석유화학 업계도 불리한 쪽에 가깝다는 평가다.

화학제품의 경우 인도시장 자체가 한국보단 중동에 가까운데다 인도에 수출하는 규모가 전체 화학제품 수출의 2.4%(2008년 기준)밖에 되지 않아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이번 CEPA 타결로 수출길이 열린다고 하더라도 인도의 경우 주요 화학제품 수출품목 중 12건에 대해 반덤핑을 걸어두고 있어 수출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이번에 한국의 대인도 주요 수출품목인 폴리에틸렌과 PVC(폴리염화비닐) 등이 양허대상에서 제외된 반면, 한국이 인도산 주요 제품을 관세 즉시철폐 대상으로 지정해 우려를 낳고 있다.

섬유업계도 마찬가지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한·인도 CEPA 체결로 섬유의 수입이 더 증가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관계자는 “노동 집약적인 섬유산업의 특징 때문에 한국이 후진국과 협정을 맺으면 불리한 측면이 더 많다”며 “인도에서 수입하는 섬유 물량이 수출하는 물량보다 훨씬 많은 상황이어서 이번 CEPA 체결로 그런 추세가 더 강화될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