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망하거나, 은행장이 망하거나

머니투데이 성화용 시장총괄부장 2009.05.12 07:20
글자크기

[인사이드]중소기업 대출시장 '불안한 대치상태'

신용이 좋은 대기업들도 요즘 은행 돈 빌리기가 어렵다. 그래서 외화차입을 활용한다. 주로 국내에 나와 있는 외국은행들이 외화를 대준다. 대기업들은 빌린 외화를 다시 원화로 바꿔서 쓴다.

국내은행들이 대기업에 돈을 빌려주지 않는 건 중소기업 대출비율 때문이다. 대기업에 대출을 하면 중소기업대출도 함께 늘려야 한다. 은행들은 대출 장사를 아예 안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다. 대출을 할만한 중소기업이 없다는 하소연이다. 대출을 해도 될 곳은 돈이 필요없고, 돈이 필요한 곳은 불안해서 엄두가 안난다는 것이다.



대출비율 규제는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한 장치로 도입했지만 금융은 생각대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예상치 못한 상황도 벌어진다. 일례로 은행들은 중소기업대출을 늘리는 대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다시 손을 대고 있다. PF 대출이 중소기업대출로 잡히기 때문이다.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시장이 얼어붙었을 때는 아예 PF를 외면하더니 요즘 상황이 좀 풀리자 생각이 달라졌다. 중소기업보다는 부동산 개발사업을 선별하는 게 덜 위험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기업들은 끊임없이 은행을 성토한다. 금융이 이렇게 막히면 중소기업들은 다 죽는다고 아우성이다. 금융 인프라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경기 회복이 요원하며, 금융에 대한 정부의 보다 강력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은행의 의사결정 라인에 있는 간부들은 강압적인 금융 통제가 오히려 더 큰 위험으로 다가올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 3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2.32%. 1년전에 비해 1%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1분기에 흑자 내고 자기자본비율도 제법 높게 나왔지만 중소기업 대출을 마음 편하게 늘릴 수 있는 상황은 전혀 아니라고 본다.

정부당국이 귀기울이는 건 아무래도 어려운 쪽의 목소리인 것 같다. 기업들은 은행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끊임없이 일러바친다. 당국자들도 과도한 대출 가이드는 문제가 있고 은행 건전성도 아직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는 금융계의 건의를 이해는 한다. 그러나 고위층을 경유해 나오는 지시는 매번 은행에 압력을 가하는 쪽이다. 중소기업 대출을 독려하고 숫자도 수시로 체크한다. 결국 시장에서의 지위는 중소기업이 약자지만 정치적 입지는 훨씬 강한 셈이다.

지금까지 결과로 보면 중소기업 대출시장은 불안한 대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정부와 대출수요자들은 은행을 몰아세우고 있고, 은행은 적당히 하는 척 하면서 이리 저리 도망다니고 있다.


상황이 극단으로 치달으면 ‘중소기업 대출’이라는 불편한 화두에 ‘은행이 망하거나, 은행장이 망하거나’라는 부제를 달아 정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직간접 압력을 받는 건 결국 은행장이다. 은행장이 중소기업 대출 늘리자고 마음 먹으면 못할 것도 없겠지만 그러다가는 은행이 망가지기 십상이다. 그렇다고 정부와 기업의 요구를 모른체 하기도 어렵다. 결국 ‘자리’를 포기하거나 ‘은행’을 포기하는 양단간의 선택을 해야 할 지도 모른다.

역으로 보자면 정부가 도출해내야 할 중소기업 대출의 해법도 여기에 있다. 은행도 망하지 않고, 은행장도 망하지 않는 선택의 범위가 필요하다. 그게 안된다면 이렇게 불안하고 불편한 대치상태를 용인할 수 밖에 없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