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금융公, 현대택배 매각 '골치아프네'

더벨 민경문 기자 2009.05.12 07:00
글자크기

'비상장주'에다 경영권 없어...투자매력도 반감

이 기사는 05월11일(08:48)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예금보험공사의 100% 자회사인 정리금융공사가 현대택배 지분을 인수한 것은 5년 전. 당시 푸르덴셜투자증권(구 현대투자증권)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공적자금을 투입한 정부가 그 대가로 넘겨받은 것이 현대택배 지분(31.01%)이다. 현재 그 지분율은 2006년 유상증자 미참여 이후 20.6%로 줄어든 상태.



정리금융공사는 2008년 중순부터 현대택배 지분 매각작업에 착수했다.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에 따라 올 연말 정리금융공사가 없어지기 때문에 그 전에 지분을 매각, 공적자금을 회수하겠다는 복안이었다.

하지만 매각주관사를 선정하는 일부터 수월치가 않았다. 흥행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굳이 절차가 복잡한 공공기관 딜(Deal)에 시간과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 IB 하우스들의 공통된 생각이었다.



정리금융공사는 올해 4월이 돼서야 가까스로 우리투자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하기에 이른다. 주관업무를 맡았지만 난감하기는 우리투자증권도 마찬가지였다.

5월이나 6월초 입찰을 계획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원매자들이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 완전 공개경쟁 방식이 아닌 제한경쟁 입찰이라는 점을 강조하긴 했지만 그다지 효과는 없는 상태다.

여기에 실사를 받는 현대택배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는 평가도 나온다. 매각물량이 대주주 지분이 아닌 만큼 굳이 회사정보를 제3자에 세세히 공개해 줄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매각주체가 대주주인 현대그룹이 아닌 정리금융공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관사인 우리투자증권이 현대택배 측에 강하게 요구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번 딜이 난항을 겪는 이유는 무엇보다 현대택배가 비상장사라는 점이다. 지분을 인수하는 측에선 투자회수(엑시트)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 현대택배의 기업공개(IPO) 시점을 3~4년 뒤로 내다보고 있는 상황에서 지분 인수에 쉽사리 응할 투자자는 많지 않다. 게다가 경영권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 지분(20.6%)이라는 점도 투자 매력을 반감시키는 부분.

전반적인 택배산업의 불황도 투자자들이 현대택배의 지분인수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택배산업은 2000년대 들어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와 함께 매년 20% 이상씩 급성장해왔다. 하지만 지난 2005년을 이후 업체들 간 치열한 과당 경쟁과 고객 불만 증가로 인해 위험요인이 누적됐다는 지적이다.

정리금융공사는 대주주인 현대그룹이 지분 인수에 적극 나서주기를 내심 기대하는 눈치지만 이 또한 녹록지 않다. 현대택배의 주요주주는 현대상선(47.15%), 정리금융공사(20.6%),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12.61%) 등이다.



현대상선과 현정은 회장의 지분만 합쳐도 지분율이 59.76%다. 여기에 현대그룹 직원들이 보유한 지분 10%까지 포함하면 현대 측 지분율은 70%에 육박한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이미 충분한 지분을 가지고 있는 만큼 굳이 정리금융공사의 보유주식을 추가 인수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입찰에 나설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