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8000선 재붕괴의 의미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2009.01.21 09:50
글자크기

제2 금융위기 전개… "비관도 낙관도 금물, 오바마 부양 효과 지켜봐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취임일인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지수는 4%대 폭락하며 다시 8000선이 붕괴됐다. 8000선 하회는 오바마가 대통령에 당선된 지난해 11월이후 2개월만의 일로 증시는 그동안 누렸던 오바마 프리미엄 혜택을 고스란히 반납한 셈이 됐다.

증시가 급락한 이유는 깊어지는 실물경제 침체에 더해 제 2의 금융위기감이 시장을 짓누른 때문이다. 지난해 말 집중적인 각국의 구제금융 정책과 글로벌 동조 금리인하로 사그러 들었던 것으로 여겼던 위기의 불씨가 다시 커지고 있는 현실은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기에 충분했다.



일각에서는 은행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면서 은행의 지급 불능 사태가 이미 야기된 총체적 금융시스템 실패로 전개되고 있다는 경고를 내놓기도 한다.

◇ 오바마 취임 불구 금융시계는 제로



지난해 전세계를 강타한 신용경색은 실물 경제 침체라는 인화물질을 만나 새로운 위기의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양상이다. 미 정부의 천문학적인 구제 금융에도 불구, 씨티그룹의 주가는 2달러대로 내려앉았고 지금까지 정부 보증을 더해 총 1630억달러 유동성을 확보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조차 현금 800억달러가 당장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미국 금융시스템이 붕괴 직전에 있다"는 신랄한 독설을 아끼지 않았다. 루비니 교수는 20일 두바이 콘퍼런스에서 "미국 금융기관들의 신용 손실이 3조6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지만, 미 금융권이 보유한 현금은 1조4000억 달러에 불과하다"면서 "미 은행시스템이 사실상 지급 불능(insolvent) 상태에 빠졌다"고 경고했다.

◇ 유럽 더 심각한 양상


'제2 금융위기'는 유럽에서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영국 정부는 5000억파운드에 달하는 1차 금융구제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가 더욱 확산되자 지난 19일 1000억파운드 규모 2차 금융구제안을 발표했다. 덴마크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도 뒤따르고 있다.

영국 정부는 금융권 부실에 대해 보증을 제공하는 한편 영란은행(BOE)이 500억파운드 규모 부실 자산 인수에 나설수 있도록 승인했다.



또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의 정부 지분율을 종전 58%에서 7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RBS는 자산상각을 포함, 지난해 280억파운드(410억달러)라는 영국 기업 사상 최대 손실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의 자존심 독일의 도이치뱅크마저 지난 4분기 손실이 48억유로에 달해 지난해 전체로 38억유로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비관은 금물…부양 효과 지켜보자



아직 비관할 처지는 아니다. 각국이 제시한 구제금융및 부양책들의 효과가 최소한 몇 개월 더 기다려야 알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첫 과제로 꼽은 2차 경기부양 및 금융구제 효과가 가시화될 경우 위기가 극적으로 안정될 가능성도 크다.

오바마가 벤치마킹하는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경우 당선일로부터 취임까지 다우지수가 13% 추락했으나 뉴딜정책을 내놓으며 1933년 한해 75% 치솟는 효과를 보인 전례가 있다.

이에따라 825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과 3500억달러의 2차분 부실자산인수프로그램(TARP) 집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경우 미국 경제가 극적 반등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



각 국의 경우도 아직 본격적인 정책효과를 속단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