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구조조정] 워크아웃의 그림자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09.01.20 16:08
글자크기
1차 건설사 구조조정 대상이 확정됐다.

해당 기업들은 IMF 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정부로부터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당하는 오명을 얻었고, 이제 뼈를 깎는 구조조정만이 기다리고 있다.

건설사들은 IMF때 이미 워크아웃의 경험이 있다. 10년이 지난 지금 건설사들은 다시 치열한 구조조정의 문을 열었지만 겨울 칼바람만큼 혹독한 시련만이 기다리고 있다.



◇공공공사 수주 가능한가?
국토해양부는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 진행 업체에 대해 관급공사 수주에 별도 제한은 없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추진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경우 관급공사 수주 등에 일정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500억원 이상 공공공사는 BBB-, 500억원 미만은 BB- 이상의 등급을 요구하고 있다. 한신평은 최근 자료에서 C등급 판정을 받은 업체는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결국 해당 기업들은 공공공사 수주시장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채권은행이 주택사업을 허가해 줄 가능성이 낮은 점을 감안하면 기업외형은 급속도로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해외공사 문제없나?
국토부는 해당 건설사의 신인도 유지 등을 위해 발주자 및 채권단 등 이해관계자와 협의를 통해 공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단 이해관계자간 협의가 원만치 못할 경우 정부차원에서 국내 건설업체가 계속 대리시행을 할 수 있도록 발주처와 적극 협의하겠다는 원론적인 대책만 말하고 있다.


그러나 유동성 위기의 원인중 하나였던 해외개발사업은 대리시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해당사업 때문에 유동성 위기가 불거졌는데 그 사업을 인수한다는 건 폭탄을 떠안는 것이나 다름없다.

해외 도급공사도 해당 건설사가 오랫동안 투자를 해 수주한 공사인데 다른 건설사가 영업망과 인력네트워크를 손쉽게 가져가는 것에 대해 반발이 불가피하다.



◇핵심인원만 남고 나머지는 퇴출?
기업 외형이 축소되면 기업이 선택 가능한 카드는 인력 축소밖에 없다. 해당기업들의 임직원은 핵심인력을 제외하고 또다시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다른 건설사로 재취업하려해도 경기가 너무 안 좋다는 점이다. 창업을 하려해도 경기 위축이 심각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지난해 회사가 떠넘긴 미분양 아파트는 임직원들에게 큰 짐이 될 전망이다. 당초 회사가 이자와 중도금을 내주는 조건으로 울며 겨자먹기로 받았지만 결국 자신이 떠안게 됐다. 팔려고 해도 경기가 안 좋아 당분간 이자와 중도금을 부담하면서 끌어안고 가야 한다.



◇은행은 무엇을 요구할까?
워크아웃에 들어간 건설사는 모든 기업경영을 채권은행과 협의를 해야 한다.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기 때문에 추상과 같은 존재다. 은행이 요구하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워크아웃 기업이 선정되기 이전에도 일부 은행은 일부 건설사에 사옥을 팔라는 압박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크아웃 대상이 된 이상 이 같은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이다.

문제는 팔만한 물건이 많지도 않고 경기 위축으로 팔리지도, 제값을 받을 수도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만약 운이 좋아 다 팔렸더라도 워크아웃을 극복하고 정상기업으로 회복되면 남는 건 없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