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3'아닌 고개숙인 "벡(Beg)3", 구제 진통

뉴욕=김준형 특파원 2008.12.05 05:29
글자크기

(종합)美 車3사 청문회… CEO들 "잘못 시인", 의회 비판 봇물

제너럴 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국의 3대 자동차 회사는 더이상 '빅(Big)3'가 아니었다.
의원들 앞에서 "잘못했으니 제발 살려달라"고 '간청하는' 자동차 3사의 처지를 미국의 언론은 'Beg 3'라고 표현했다.

이들 3사 최고경영자(CEO)들은 4일(현지시간) 미 상원 금융위원회에 참석, 자신들이 제출한 자구안을 설명하고 340억달러의 구제자금 없이는 생존이 불투명하다고 호소했다.
의원들은 미 산업에서 빅3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구제자금 지원에는 냉랭한 입장을 보였다.
구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의원들 역시 '빅3'가 보여온 행태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퍼붓고 보다 강력한 지원 전제조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GM의 '협의파산'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다음주로 예정된 미 의회의 구제법안 표결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 빅3 CEO, 하이브리드차 몰고 워싱턴행, 노조도 "양보" 의사



지난2일 의회에 자구안을 제출한 릭 왜고너 GM 회장, 앨런 멀랠리 포드 회장, 밥 나델리 크라이슬러 회장 등 3명의 CEO는 일제히 정부의 긴급 자금 지원을 재차 촉구했다.
이들은 미 의회가 당초 계획했던 250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340억달러의 지원을 요청해둔 상태이다.

이들은 지난달 청문회때와 달리 이번 청문회에는 자가용 비행기 대신 자동차를 타고 워싱턴으로 향했다.

특히 왜고너 회장은 고효율연비 자동차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자사가 개발중인 전기자동차 시보레 '볼트' 시제품을 타고 의사당에 들어섰다. 본사인 디트로이트에서 워싱턴까지는 현재 시판중인 하이브리드카 시보레 '말리부'에 탑승해 10여시간을 달려왔다. 왜고너 회장은 가끔 운전대도 잡았다.


멀랠리 포드 회장은 흰색 포드 이스케이프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디트로이트로부터 직접 운전해 왔다. 나델리 크라이슬러 회장 역시 자동차편을 이용했다.

왜고너 회장은 "미 자동차업계는 잘못을 저질렀으며 이에 따라 이곳(청문회)에 오게 됐다"고 몸을 낮췄다.
왜고너 회장은 특히 '새로운 GM'을 만들어내기 위한 청사진으로서 파산이나 다름없는 전환점을 다짐했다. 그러나 청문회 참석 직전 기자들에게 "파산은 고려사항이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와 관련 미 언론들은 GM이 '협의파산(pre-arranged bankruptcy)'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전 협의파산'은 파산을 전제로 직원 채권자 대출기관 등과 자금을 지원받기로 협상하는 일련의 과정을 뜻한다.

전미 자동차 노조(UAW)의 론 게틀핑거 회장 역시 고용보장을 포기하는 등 회사 생존을 위해 대폭적인 양보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게틀핑거 회장은 "정부가 긴급 브리지론을 이달중 제공하지 않을 경우 GM은 올 연말 현금이 바닥날 것이며 크라이슬러가 뒤를 이을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이 회사들의 청산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5일에는 하원 청문회에 출석해 '심문'을 받아야 한다.

◇ 의원들 찬반 팽팽, GAO "연준 재무부 지원가능"견해 주목

자동차 업계 구제방안을 주도해온 민주당의 크리스토퍼 도드 상원 금융위원장은 "미국경제는 이미 1년전부터 침체에 빠져 있으며 자동차 업체가 한개 혹은 그 이상 도산한다면 심각하고 파괴적인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자동차업계의 회생 노력이 충분히 인정된다며 자동차업계 지원의 세(稅) 부담이 앞선 금융사 지원 부담보다 훨씬 적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공화당을 중심으로 한 다수 의원들은 여전히 구제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 찬반이 팽팽하게 맞서는 모습이다.

7000억달러 구제자금 방안에도 반대했던 공화당의 리처드 셸비 의원은 "납세자들의 돈을 쏟아붓는 것이 자동차 업계를 살리는데 도움이 될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연방 회계감사원(GAO)의 진 도다로 원장 대행은 의회의 승인 없이도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국 자동차
'빅3'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의회의 회계감사기구인 GAO의 도다로 원장 대행은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7000억달러의 '부실자산 구제프로그램(TARP)'은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도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권한을 포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연준 역시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이사회 승인을 거쳐 자동차 업체들에 대해 대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빅3의 파산을 막기 위해 우선 현금을 지원한 다음, 일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추가대출을 지원하는 '2단계 지원'책을 의회가 고려해볼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헨리 폴슨 재무장관은 7000억달러 구제자금을 자동차 업계에 지원할 뜻이 없다고 거듭 밝혀왔다. 연준 역시 자동차 업계 직접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빅3'의 회장들은 이날 청문회에 참석, 자구안을 설명하고 총 340억달러의 긴급 구제자금을 지원해줄 것을 설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