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ㆍ금융ㆍ가계 동반부실 위험

머니투데이 김수홍 MTN 기자 2008.11.18 19:39
글자크기
< 앵커멘트 >
현재 건설업계가 처한 위기는 구조적으로 가계와 금융의 부실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정부의 지원책도 별 도움이 안 돼 건설업계의 부도 도미노 우려는 시간이 지날 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김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건설업계가 연쇄부도 위기를 맞게된 데는 건설업체 뿐 아니라 금융권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금융기관의 예금 대비 대출의 비율을 뜻하는 예대율은 126%까지 올랐습니다.



아시아의 다른 국가보다 월등히 높을 뿐만 아니라, 2004년과 비교해도 26%포인트 이상 급증했습니다.

금융권이 부족한 자금을 은행채나 CD 등 단기차입으로 메우다보니, 시중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부동산 시장을 더 얼어붙게 만든 후, 다시 금융부실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풀이 되고 있단 겁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가 처한 위기가 금융과 가계로 쉽게 전이되는 구조란 겁니다.


김현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
"단기형태의 브리지론을 제공해온 저축은행도 건설업 구조조정 대열에 자유롭지 못할 걸로 보입니다. 제2금융권도 함께 구조조정이 수반될 걸로 보입니다"

이같은 연쇄 부실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정부도 건설업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급한 불을 끄기엔 역부족으로 보입니다.



당장 대주단 협약은 부실업체로 낙인 찍히는 수순이란 거부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권홍사 / 대한건설협회 회장
"건설사가 은행 돈만 쓰는 게 아닙니다. 제 3금융, 사채, 심지어 친척돈도 갖다 쓰는데 이게 다 막힙니다. 일괄적으로 대주단에 집어넣어서 그 안에서 부실기업을 솎아내는 식으로..."

토지공사가 실시한 건설업체 보유 토지 매입작업 역시 건설사의 신청규모가 6천억 원에도 못미쳤습니다.



미분양 아파트 매입 역시 조건이 까다로운데다 규모도 적어 별 도움이 되진 못한단 지적입니다.

나올만한 대책이 다 나온 만큼 건설업체로선 경기회복을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단 게 문젭니다.

김영선 / 국회 정무위원장
"개별 기업 입장에선 모든 조치를 흡수해서 다각도의 플랜을 세워야 할 걸로 보입니다."



일각에선 건설업계의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지만 연쇄부도 사태가 불러올 파장을 감안할 때 일단 급한 불부터 끄고 보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MTN 김수홍입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